▲ 기존 화훼 부류별로 진행되던 의무자조금이 화훼 통합 의무자조금으로 전환돼 조성될 전망이다. 사진은 지난 5월 11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린 꽃 직거래장터.

관련업계 통합 합의…설치준비위원회 구성
“부류별 전개보다 상생효과 기대” 논의 본격화

백합·절화 등 개별 진행 진도차이로 진통 우려
생산농가 중심 운영, 농협은 측면지원 요구도


화훼 통합 의무자조금을 조성키로 화훼업계가 합의하고 구체적인 절차에 들어갔다. 이는 기존 백합, 절화, 난, 분화 등 화훼 부류별로 전개되고 있던 의무자조금을 통합하겠다는 것으로 의미가 크나 생산자 중심으로 운영돼야 한다는 과제와 함께 통합과 관련해선 난항도 예고되고 있다.

지난 8일 농림축산식품부 세종청사에선 화훼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의무자조금 조성과 관련한 회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선 처음으로 화훼 통합 의무자조금을 조성키로 의견이 합의됐다. 이를 위해 화훼 의무자조금 설치 준비위원회도 구성됐다. 이 위원회엔 생산자와 화훼단체, 농협, 전문가 등이 포함됐다.

방도혁 농식품부 사무관은 “앞으로 설치계획 수립, 대의원 선출 등의 절차가 남아있고, 올해 안에 계획서를 농식품부에 제출키로 했다”며 “지금까지 정부가 주도해나갔다면 향후 절차는 화훼단체 등 화훼업계가 주도하는 준비위원회가 중심이 돼 의무자조금 조성을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화훼업계는 큰 그림에 대해선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침체된 화훼산업을 살리기 위해 화훼업계가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통합 화훼 자조금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개별적인 자조금보다 화훼 통합으로 의무자조금이 조성되면 상생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에 준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임영호 한국화훼협회장은 “화훼산업의 미래를 위해서는 당연히 화훼 통합 의무자조금으로 가는 것이 옳은 방향이라고 판단했다”며 “구체적인 진행 과정은 실무진과 지역별 회의를 통해 잡아나갈 방침”이라고 전했다.

다만 추진 과정에서의 여러 난제도 놓여 있다. 일단 각 부류별로 현재 의무자조금 진행 과정에서의 진도 차이가 있어 이를 다시 하나로 묶는데 진통이 생길 수도 있다. 실제 백합의 경우 이미 의무자조금이 결성됐고, 절화는 계획서를 제출하는 등 서류 절차만 남아있었다. 반면 난과 분화는 이제 시작 단계인 상황이었다. 또한 의무자조금을 추진하고 난 뒤에도 각 부류별로 사업 영역이 다를 수 있기에 각 부류별 불협화음이 발생할 우려도 있어 이에 대한 조율도 필요하다.

특히 생산자 중심의 의무자조금이 조성돼야 할 당위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도 생산자단체가 자조금의 중심 역할을 하고 농협은 이를 측면에서 지원하는 쪽으로 화훼단체들이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의무자조금 조성이 마무리되는 것과 병행해 자조금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업 등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화훼업계 관계자는 “경기침체와 청탁금지법 시행 등으로 화훼산업이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 화훼류를 통합한 의무자조금을 조성하기로 화훼업계가 합의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통합 화훼 의무자조금으로 가야 한다”며 “다만 화훼 농가 중심의 의무자조금이 조성돼야 함은 물론 의무자조금을 조성하는 과정에 자조금을 활용할 구체적인 대책까지 수립돼 정부 대책과 별도로 자조금으로 할 수 있는 대책들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각 화훼 부류별로 이견이 있을 수는 있지만 품목이 아예 다른 과일·채소류와 달리 절화, 분화, 난, 백합 등의 화훼류는 통합 사업이 가능하고 다 연계돼 있기도 하다”며 “농가들을 설득하기 위해 자조금을 조성하면서 구체적인 사업계획 등도 마련해 설득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경욱 기자 kim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