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 시대 농산물 수급관리’ 심포지엄

▲ 지난 5월 3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는 정부, 학계, 연구소, 현장 전문가들이 모인 가운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농산물 수급관리 방안’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이 열렸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농산물 수급관리에도 변화가 일어날 전망이다. 특히 빅데이터를 농업 분야에 어떻게 접목하고 활용하느냐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우리 농산물 수급관리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월 3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농산물 수급관리 방안’이라는 주제로 2017 신유통 심포지엄이 열렸다. 채소류 수급유통 고도화 사업단이 주최하고 농식품신유통연구원이 주관한 이번 심포지엄은 현재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정부, 학계, 연구소, 현장 전문가들이 모여 대응 과제를 찾고자 마련됐다.

▲해외의 사례는=일반적으로 빅데이터는 초대용량의 데이터라는 규모와 다양한 형태, 빠른 생성 속도라는 특징과 가치를 더한 말로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소매업, 제조업 등 5개 부문에서 활용가치가 세계 총생산의 4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보고도 있다.

세계 각국은 이 빅데이터를 농업 분야에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트랙터, 파종기 등의 농기계나 국제 곡물 시장, 기상대 등 농업 관련 정보망을 연결해 생산성을 높이는가 하면 다국적 기업들은 계약재배 농가들에게 빅데이터를 활용한 처방식 재배 방식을 보급하고 있다. 일본은 농림수산성에서 농업 경영 및 생산 정보를 제공하고, 노지 채소의 출하 예측 시스템을 마련했다. 네덜란드는 식물재배의 전과정을 자동화하는 연구와 함께 ICT를 활용한 경매시스템과 물류 기반시설이 결합된 국제 화훼교역도 추진되고 있다.

▲국내 수급관리에 시사점은=김동환 농식품신유통연구원장(채소류 수급유통 고도화 사업단장)은 그동안 정부의 수급안정 정책에 대한 평가가 높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정책 개선 방안을 제안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조직화를 통한 생산자 자율적 수급조절을 전제로 정부의 대책이 수립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정부는 관측이나 빅데이터와 같은 정보제공과 농가의 소득 안정화에 집중하고 수매비축이나 산지폐기, 수입촉진 등의 시장 개입은 최소화할 것을 주문했다.

다만 이러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농산물 수급관리를 고도화시키기 위해서는 선행돼야 할 여건도 적지 않아 보인다. 우선 빅데이터 기술 활용이 국내에서는 초기 단계에 있어 실제적 활용이 미흡하다는 점에서 4차산업 기술이 실제 사업 모델로 창출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이 확대되는데 정부의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이 김동환 원장의 주장이다. 다만 빅데이터 기술이 다양한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데이터를 양산하고 확산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현재 진행하고 있는 샘플조사 위주의 농업정보 및 관측 시스템을 전수 조사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를 위해서는 농가 단위의 생산 및 유통 정보화가 필요하지만 많은 비용이 수반된다는 점에서 단기적으로 채소류 수급유통 고도화 사업단에서 개발한 산지조직 생산유통시스템을 확대 보급해 산지의 식부면적이나 작황, 저장량, 포전거래 가격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김동환 원장은 “농업 분야에서도 빅데이터 등 4차산업 기술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고, 다양한 사업 모델이 창출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이 확대돼야 한다. 다만 이 경우 연구 주제는 정부가 주도하기 보다는 업계에서 자율적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김영민 기자 kimym@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