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란계 업계에도 동물복지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논의가 활성화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독감(AI)으로 가금류가 무려 3787만수나 살처분 매몰됐는데 특히 산란계의 경우 사육밀도가 좁은 공장식 사육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이 컸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부 동물복지단체와 소비자들은 국내 산란계 사육방식이 공장식에서 동물복지로 전환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무엇보다 국내 산란계 업계에서 동물복지가 점차적으로 확대되기 위해서는 정책과 제도, 생산자 측면에서 개선이 우선적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으면서 동물복지 산란계 인증 사업이 지난 2012년부터 추진됐지만 지금까지 불과 86개 농가만 인증을 받는데 그쳤다.

따라서 동물복지 산란계 농장이 국내에 정착되려면 정부는 우선적으로 시설자금과 전문 GP설치 등의 지원을 해야 한다. 동시에 농가들은 품질 향상과 유통 투명성 확보로 소비자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외국과 차별화된 한국형 친환경 동물복지 산란계 농장 모델도 만들어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등의 사업도 추진할 것을 강조한다.

이외에 동물복지 농장을 어렵게 만들고 운영해도 인증농가에 대한 인센티브가 없어 농가들이 많은 자금을 투자해야 하는 동물복지 농장인증을 받으려 하지 않는 점도 문제다. 

따라서 정부는 동물복지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개선을 위한 대대적인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또 동물복지 농장에 대한 직불금 지원과 전문가들의 세세한 컨설팅, 농가별 맨투맨 교육 등 보다 체계적이고 짜임새 있는 정책수립과 추진도 필요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