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낙농업계를 보면 한심하기 그지없다. 낙농 불황극복을 위해 정부와 낙농가, 그리고 관련업계 모두가 함께 고통을 분담, 위기를 헤쳐 나가도 시원찮은 시기에 그렇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낙농관련 단체간 이해관계가 대립되면서 낙농불황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정부가 원유의 과잉생산을 막기 위해 젖소 자율도태, 소비촉진운동 등을 추진, 지난 6월 이후 생산량이 감소하고 분유재고 증가세도 둔화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아직도 분유재고량이 1만8000톤을 육박하고 있는 데다 낙농진흥회의 유대 미지급사태까지 발생, 낙농가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특히 원유수급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낙농진흥회는 올해 투입된 수급조절자금 818억원을 이미 상반기에 바닥내 이에 대한 뚜렷한 대책이 없는 한 낙농가들이 줄줄이 탈퇴, 진흥회의 해체로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낙농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낙농업계 모두가 고통을 함께 분담한다는 생각을 갖고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고 본다. 사실 낙농업계가 모두 이에 공감을 하면서도 제대로 실천에 옮기지 못하고 있는 것이 문제다. 우유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낙농가들이 일차적으로 정부의 낙농정책을 신뢰하지 않는데서 비롯됐다고 본다. 정부가 낙농정책을 일관성을 갖고 추진했더라면 낙농가들도 그렇게 생산량을 늘리지 않았을 것이다. 낙농진흥회가 원유수급조절을 위헤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것도 그 이유다. 낙농가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정부와 낙농진흥회의 우유수급정책이 아쉽다. 이런 의미에서 최근 낙농진흥회가 추진하고 있는 잉여원유 가격차등제에 주목한다. 현재 낙농가들은 이 제도에 대해 불만이 높다. 잉여원유 발생량 만큼 농가의 전체적인 유대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를 어떻게 설득하느냐가 이 제도 도입의 관건이다. 낙농가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 이해를 구해 서로의 합의점을 찾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낙농가들도 정부의 정책에 무조건 반대만 할 것이 아니라 자율적인 젖소 도태 등 수급안정정책에 적극 동참하면서 자신들의 요구를 주장하는 성숙된 자세가 필요하다. 수입분유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결의한 유업체들도 이를 끝까지 지킴은 물론 제과·제빵업체들까지 확대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어떻든 우유 소비 비수기로 접어들기 전에 수급불균형을 해결하지 못하면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갖고 정부, 낙농가, 관련업계 모두가 나서 낙농불황을 극복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