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려는 농가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농림부는 물론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친환경농업 실천농가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 데다, 안전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농민들의 의지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지난해 쌀 대란 이후 많은 쌀 생산농가들이 친환경 농법으로 전환했으며, 또한 강원도 등 일부 지자체가 지역여건을 살려 환경농업육성 정책을 추진한 것도 한 몫 했다는 것이다. 올해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는 농가 수와 생산면적이 전년동기 대비 약 20~30%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이러한 사실을 방증해 주고 있다. 이런 현상은 우리 농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란 차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농산물의 국제경쟁력을 제고시켜 한국농업의 존속을 가능케 해주고 새로운 소비자의 기호에 부응할 수 있는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올 가을 수확기에 생산된 친환경농산물이 제대로 판매되지 못하면 정부는 물론 농민의 부담은 크다. 친환경농업을 육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유통·소비확대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정부의 친환경농업 육성계획에 있어, 유통활성화를 위한 투융자 비율이 낮을 뿐 아니라, 소극적인 홍보에 그치고 있다.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에 나타나 있는 투자소요 전망을 보면, 유통활성화 부문은 6.2%에 불과하며, 국비보다 융자 및 자부담에 주로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친환경농산물의 소비가 획기적으로 늘어날 수 없다는 지적이다.따라서 정부는 친환경농업 육성 정책과 함께 유통·소비 촉진을 위해 투자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 특히 친환경농산물이 대중화하 는 시대에 소비 촉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신뢰확보 등 일반 농산물과 구분할 수 있는 표시·인증제도의 조기 정착이 중요하다. 친환경농업 실천농가들이 표시·인증을 받으려고 하지만 새로 변경된 인증 제도를 제대로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소비자도 새로 변경된 표시·인증마크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고품질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정보를 인증 마크만으로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홍보 강화가 요망된다. 아울러 시장과 상품의 차별화를 통해 친환경농산물의 차별성을 살리면서 소비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판로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친환경농산물 소비 확대를 위한당면 현안을 해결하지 못하면 정부의 친환경농업 육성정책은 또 다른 시련에 부딪힐 수 밖에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