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을 앞두고 제수용으로 친환경농산물을 찾는 소비자들이 크게 늘고 있다는 소식이다. 최근 모 방송국에서 방영한 ‘잘먹고 잘사는 법’ 프로그램 영향도 있지만 이는 어떻게 보면 당연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소득수준의 향상과 함께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가 양에서 질 중심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이에 요즘 농민들도 농산물 수입 개방에 대응하고,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고품질 안전 농산물 생산에 역점을 두고 있다고 한다. 친환경농업 실천농가가 계속 늘고 있는 것이 이를 입증해 주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들 농가 중 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품질인증을 받은 농가는 그리 많지 않다는 점이다. 지난해 말 현재 품질인증을 받은 농가는 4만2000명 중 7% 수준에 불과하다. 품질인증이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이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지만 현재로선 국가의 인증제도 이외는 신뢰할만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소비자에게 고품질 농산물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전달, 고품질 안전농산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생산자에게는 품질에 따라 제값을 받도록 하자는 차원이기 때문이다. 사실 인증을 받은 친환경농산물은 신뢰도가 높아 인증품의 70∼80%가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와 직거래함으로써 유통비용을 감축, 생산자, 소비자 모두에게 큰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따라서 친환경농업 실천농가들은 새로 개정된 친환경농업 육성법 기준에 맞게 친환경농산물을 생산, 표시 인증을 받도록 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특히 이 법에서는 민간 인증을 받도록 했고, 이미 친환경농업단체 중 흙살림은 민간인증기관으로 지정 받았다. 앞으로 표시 인증을 받은 많은 친환경농산물이 생산 유통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물론 민간인증기관으로 지정 받은 단체들은 소비자의 신뢰를 저버리게 될 경우 돌이키기 힘든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깊이 인식하고, 표시 인증기준을 철저하게 적용해야 한다. 자신의 회원농가라고 해서 봐주기식 인증을 해줄 경우 친환경농산물은 소비자의 외면을 받게될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아울러 표시 인증제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생산자, 소비자 모두에게 주는 것도 중요함은 물론이다. 불안전한 정보 하에서 생산자는 고품질 농산물을 제공할 인센티브가 없고, 소비자 또한 구매하는 정보가 전혀 없거나 식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고품질 안전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친환경농업이 확실히 정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