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겨울부터 시세 바닥…시기 늦고 물량 적어
산지폐기 불구 실제 시장시세 회복과 ‘먼 거리’

▲ 청양고추 가격이 바닥 수준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수급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지만 뒤늦은 대책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서울 가락시장의 청양고추 반입 모습.

청양계 풋고추(청양고추)의 시세 폭락이 장기화되는 시점에 나온 정부와 농협의 뒤늦은 청양고추 수급대책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책이 나온 시점도 늦었고, 대책의 효과도 미미하다는 것이다.

청양고추는 늘어난 물량과 소비 침체가 맞물리며 지난겨울부터 사실상 시세가 바닥 수준이었다.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20kg 상품 기준 평년 1월 도매가격이 9만8852원이었던 반면 올 1월은 3만9535원, 평년 2월 12만5769원이었던 도매가격은 올 2월 2만9464원으로 지난겨울 가격 폭락이 계속됐다. 3월 들어서도 20일 현재 휴장일을 제외한 17일간 평균 도매가격이 2만6438원에 그치며 평년 3월 시세인 6만4753원에 한참 못 미치고 있다. 3월초 3만원 초반, 중순 2만원 후반, 20일 현재 2만2469원 등 3월 들어 잠시 올라섰던 시세도 하락세로 돌아서고 있다.

이에 정부와 농협에선 지난 13일부터 140톤의 청양고추 물량에 대한 시장격리(산지폐기)를 단행하고, 특별 할인행사를 진행하는 등의 수급안정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산지에선 뒤늦은 대책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현재 주출하되고 있는 밀양 지역의 출하초기인 초겨울부터 시세 하락은 시작됐는데 넉 달 가까이 지난 3월 중순에야 수급대책이 나왔다는 것이다. 또한 정부와 농협의 산지폐기 물량도 시장 시세를 반등시키기엔 턱없이 부족한 양이라고 산지와 시장에선 분석하고 있다. 실제 13일부터 단행하고 있는 산지폐기에도 불구하고 시장 시세는 별반 나아지지 않고 있다.

여기에 더해 중장기 대책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늦봄과 여름철 주산지인 강원권 재배 면적도 늘어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반면 선거철이 다가오고 경기 불황은 계속되는 등 청양고추의 주 소비 축인 외식업계 수요가 나아질 별다른 요인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농식품부에선 재배 면적 증가 이외에도 가축질병으로 인한 외식수요 감소 등 예상 밖 변수가 컸기 때문에 대책이 늦어졌다고 밝히며 현재 중장기 대책을 구상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청양고추를 넘어 풋고추 전체를 대상으로 수급안정사업을 전개했는데 그중 하나인 청양고추의 경우 재배 면적이 늘어난 것은 파악하고 있었으나 AI에 구제역 등 가축질병 여파까지는 예측할 수 없었다. 외식수요에 민감한 청양고추가 이 영향을 크게 받아 시세가 낮게 형성됐다”며 “산지폐기뿐만 아니라 특판 행사를 진행하는 등 소비를 촉진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소비로 문제를 풀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어 “농협이랑 계속 협의하면서 중장기 대책안도 구상하고 있다”며 “대응 매뉴얼을 구축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경욱 기자 kimkw@agrinet.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