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융합 농산물 유통수출현황·고도화’ 심포지엄
최신 과학기술 접목해 농업 생산성·편의성 제고


ICT융합 신선농산물 유통수출 활성화를 위해 농업혁신 거점으로 스마트팜 확대와 교육 및 농가 지원체계 강화, 스마트 팜 산업 생태계 육성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수확후관리협회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이 공동으로 지난 10일 한국식품연구원 대강당에서 150여명의 업계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개최한 ‘ICT융합 신선농산물 유통수출현황 및 고도화 방안’심포지엄에서 이 같은 주장이 제기됐다.

이날 김인식 한국수확후관리협회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소비자가 요구하는 품질과 안전성 확보를 위해 식물생리와 특성에 맞게 관리해 상품성을 높이는 것만이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을 높이는 길이며 이를 통해 내수시장은 물론 수출을 톨한 활로를 개척해야 우리농업의 가능성이 확대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태희 경기도청 사무관은 ‘스마트팜 성과 및 보급 가속화 정책’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스마트 팜 정책 추진을 위해 정책자금 지원, R&D, 교육훈련, 기업 육성 등 종합적 접근으로 스마트팜 확산 장애요인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을 정리한다.

▲스마트팜 정책추진 성과=시설원예와 축산분야 스마트팜 보급속도가 가속화돼 2014년 대비 2015년 보급량은 30호에서 156호로 5배 정도 늘어났다. 또 스마트팜 운영 성과에 대한 인식 확대 등으로 선도농가에서 인근농가로 전파되면서 주산지 중심으로 스마트팜 보급이 확산·집적화되는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단위면적당 수출이 12%늘어나는 등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과 동시에 품질도 향상됐다. 인건비는 고용노동비가 9.5%간소했고 병해충 및 질병피해도 피해액의 16.6% 감소하는 등의 부대효과도 있었다.

▲스마트팜 확산 가속 계획=정부 계획에 따르면 농업혁신 거점으로 스마트팜을 확대한다. ICT뿐 아니라 에너지 절감 기술, 광기술, 기계공학 등 최신 과학기술을 접목해 농업 생산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생산 이전·이후 단계까지 혁신을 달성하는 농장 육성에 주력한다.

정책 대상 스마트팜 외연을 확대해 노지·식물공장 등 새로운 모델을 보급하고 빅데이터 기반 정밀농장을 지향한다. 동시에 스마트 팜 전용 모태펀드 500억원과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등 민간 자본 유치를 촉진한다. 교육과 농가 지원체계를 강화해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팜 선도모델 발굴과 성과를 분석하고 A/S지원체계를 다양화해 현장 애로사항을 신속해 해결한다.

여기에 더해 농가 수준별 맞춤형 교육과 농가 밀착 지원을 위한 현장 전문가도 육성한다. 또 한국형 운영모델 및 기자재 표준화로 제작단가 인하와 관리비용을 절감한다. 아울러 제품검정 및 품질보증제 도입으로 업계 전반의 신뢰도와 역량을 향상시키고 해외 진출 기반을 조성한다.

이외에 R&D지원체계 정비를 위해 2021년까지 총 1057억원을 투자하고 농기계 고도화, 식물공장 등에 대한 연구를 확대한다.

이영주 기자 leey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