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연 ‘현장소리’

▲젊은이들의 농촌 유입과 청년 농업인들의 농촌 정착을 위한 농업인 월급제 도입을 비롯한 현장교육 강화 등이 강조된다. 사진은 따복농장의 귀농교육.

청년 농업인들의 농촌 정착은 물론 젊은이들의 농업분야 진출 유도를 위한 교육 강화와 농업인 월급제 도입 및 농지증여세 폐지 등의 획기적 정책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현장소리’를 통해 제시한 ‘지역 내 청년 농업인의 현황 및 이들의 유입 촉진 방안’에 따르면 교육 프로그램 다양화를 비롯해 청년인재 발굴을 통한 체계적 자금지원 및 유아보육, 교육환경, 의료서비스, 문화시설 보급 등이 제시됐다.

농업인 월급제 도입·농산물 가격보장제 실시해야
유아보육 지원·문화시설 보급, 농지증여세 폐지를


▲육성정책 다양화=충남 부여 최영호 농업인은 “농업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안정된 노후를 위해서는 농업인 월급제가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기 여주 권혁재 농업인도 “농업을 통해 안정적 소득을 보장받을 수 없기 때문에 농촌의 자녀들을 도시로 내보낼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젊은이들이 특화사업으로 고소득을 올릴 수 있는 교육과 자금지원 등의 정책”을 촉구했다.

경기 용인 김경태 농업인은 “젊은이들이 농촌에서 잘 먹고 살 수 있다는 것을 피부로 느끼는 것이 가장 중요한 유인책”이라며 “농업공영회사를 설립해 청년 농업인들에게 업무 및 교육으로 자생할 수 있는 능력과 자본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것”을 제안했다. 경기 안성 임충빈 씨도 “정부에서 중소기업 육성과 청년 고용 창출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과 장단기 계획이 추진되는데 반해 농업분야는 미미하다”며 “청년 농업인 육성을 위한 구체적 제도와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광주 광산구 배병열 농업인은 “청년 농업인이 농촌을 지키고 지속적 영농을 유도하려면 농산물 가격보장제를 실시해야 한다”며 “아울러 영농자재 지원과 유아보육 지원, 문화시설 보급, 청년 농업인 영농인센티브 지원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북 구미 정경희 농업인도 “농촌 학교와 교육프로그램 다양화 등으로 젊은이들을 유인하면서 농업을 평생직장으로 일할 수 있다는 긍정적 인식전환 필요성”을 제기했다. 경기 남양주 김용덕 씨는 “농촌에서 고소득을 올리는 젊은 농업인의 성공노하우를 청년들과 공유하면서 단순한 이론교육이 아니라 현장 교육 등을 통해 청년 농업인을 육성하기 바란다”고 전했다.

▲농업승계와 정착유도=충남 청양 장석우 농업인은 “요즘 농촌에서 40세 이하 청년은 하늘의 별따기 만큼 찾기 어렵다”며 “농촌이 활력을 찾으려면 먼저 경제적으로 안정된 일자리와 교육환경, 의료서비스, 문화 시설을 보급해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 서귀포 김상우 농업인도 “농촌에 젊은이를 유입하려면 비전이 있어야 하므로 농지 증여세를 폐지하고 기술노하우를 전수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 젊은이들이 쉽게 농업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촉구했다.

전남 담양 한정식 농업인은 “지역 내 50세 이하 농업인의 경우 대부분 부모의 가업을 이어받아 하우스 딸기 농업에 종사한다”며 “가업 승계나 귀농에 뚜렷하고 확고한 신념을 가진 사람들에게 정책적 지원과 투자를 통해 그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경북 상주 김인남 농업인도 “30~40대 연령층은 자녀 교육을 비롯해 인생의 기반을 닦아야하는 황금기인데 농촌이 그것을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경제적으로도 매력적이지 않아 흡인력이 없다”며 “농업의 가치 상승은 물론 교육 및 문화 등의 인프라 마련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전남 해남 오형동 씨는 “어려서부터 농업인재를 육성해 지원하는 제도가 필요하다”며 “귀농한 젊은이들이 의료, 문화 등에서 많은 애로를 느끼는 만큼 이들이 전문 농업인으로 자부심을 갖고 살아갈 수 있는 장기적 계획수립과 실천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문광운 기자 moon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