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농업용 드론 500대 보급·무인이동체 시장 매년 20% 폭풍 성장 전망

드론을 비롯해 농업용 무인이동체 시장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핵심기술의 국산화 및 개발된 기술의 검증,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등을 위해 범부처적 협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드론을 활용한 과학영농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련부처의 협력이 필수적이란 것이다.

산업부 무인기기술·미래부 IT·농진청 영농데이터 활용을
다부처사업 통해 원천기술 국산화·수출산업으로 육성해야  


관련업계에 따르면 농업용 드론이 2016년에만 500대 가량 현장에 보급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무인농기계, 농업용 무인기, 자율주행자동차 등을 포함한 무인 이동체 시장은 2015년 251억 달러 규모이지만 2020년에는 1537억 달러 규모로, 매년 20%가 넘는 성장세가 예상된다.

국내의 경우에도 농업용 드론을 이용한 농약살포나 영상촬영 등 일부기술이 농업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드론을 이용한 영상촬영을 바탕으로 한 데이터 획득 및 분석, 농업재해 및 작황평가, 생육조사, 시비 및 파종 등 활용분야가 더욱 확대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다만 드론의 농업분야 활용도 제고와 비용대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임무수행의 고도화, 안전성 제고 등을 위한 관련기술의 개발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과학영농 구현을 위한 무인이동체 농업현장 적용 최적화 공동기획연구’를 추진하고 있는 이시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품질인증팀장에 따르면 농업현장에서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많지만 개선사항도 많다. 이 팀장은 “현재 농업영상 획득을 위한 드론 기체, 임무장비 및 분석 소프트웨어 등을 해외업체에 의존하고 있어 고비용이 소요되며, 영상데이터의 형식도 표준화돼 있지 않다”며 “드론을 농약이나 비료 살포, 파종 등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도 경작지 영상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지능형 살포장치, 최적 비행경로점 생성기술 등 풀어야할 기술적 과제가 많다”고 전한다.

드론을 운용하고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파종이나 시비, 방제 등을 위한 임무장비, 임무장비의 규격 및 운용기준, 식물생육 및 병해충 상황 등을 파악하기 위한 영상 확보 및 활용기술 등에서 원천기술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드론을 농업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 장치도 마련돼야 한다. 대용량 영상전송을 위해서는 주파수도 확보해야 하고, 12㎏이상 드론은 비행승인이 필요하며, 고도 150m이상에서의 비행이 제한돼 있는 규정 등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시민 팀장은 드론을 영농현장에서 보다 과학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부처 간 역할 분담 및 협력사업의 추진을 강조한다. 그는 “드론을 활용한 과학영농 구현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의 무인기원천기술을 농업용 임무장비에 활용하거나 미래창조과학부의 IT기술, 농촌진흥청의 축적된 영농관련데이터 등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다부처사업을 통해 농업용 드론이나 임무장비, 운용소프트웨어 등의 원천기술을 국산화하고, 수출산업으로도 육성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