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4년간 농업분야 핵심과제로 추진해온 농업의 6차산업화에 대한 성과를 최근 내놓았다.

우선 법률제정과 지원센터 설치 등을 통한 체계적 지원으로 2013년 360개소이던 창업 규모를 2016년 1785개소로 늘렸고 이를 통해 3200여명의 일자리를 창출했다고 밝히고 있다. 또 특색있는 상품을 개발하고 인프라를 확충해 2016년 농촌관광객 1000만명, 외국인 관광객 16만4000명을 달성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얻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2014년 지정된 6차산업화 지구의 경우 주체 간 네트워킹을 통한 신제품과 신서비스 등으로 2016년에는 매출액이 2014년 대비 6.3% 증가했다는 구체적인 수치까지 제시하고 있다.

이외에 농업진흥지역, 그린벨트 등에서 입지규제 완화, 소규모 경영체에 대한 시설기준 완화, 지구단위 특례적용 등의 규제개선으로 연간 1546억원의 경제적 효과까지 창출하는 등 농업의 6차산업화가 성공적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모양새다. 

그러나 정부는 이러한 농업의 6차산업화 정책의 성과 이면에는 개선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는 점도 알아야 한다.  

우선 6차산업화 정부지원을 받아 가공이나 유통분야에 창업한 농업 경영체의 경우 2년을 넘어서면서 판로개척 실패와 브랜드이미지 약화로 시장진입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또 관광이나 체험분야 6차산업화 경영체들은 체험시설과 관광인프라 구축을 위한 경제적 투자부담이 큰 반면 이를 통한 수익성이 취약해 자칫 부채만 양산하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소규모 가공, 체험 경영체가 HACCP인증을 받기 위해 과도한 투자는 경제적 부담만 가중된다는 것이다. 잘사는 농업인,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농업·농촌 만들기라는 농업의 6차산업화 목표 달성을 위해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나 개선점을 구체적·즉각적으로 개선하는 정부 정책의 탄력성과 신속성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