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분야 컨설팅사업이 농가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는 소식이다. 상당수 농가들이 기술, 시설, 회계 등 전반 분야에 걸쳐 경영진단을 받고 그동안 잘못된 농업관행을 개선, 경영수익 증대에 도움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지난 99년부터 시범사업으로 농업경영 컨설팅사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이렇다. 농업구조개선 투자로 경영규모화와 시설·장비 현대화는 진전되었으나 경영능력 향상이 병행되지 않아 농업인의 경영혁신 노력을 측면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그 이유다. 이 사업은 정부의 보조 지원사업중 성과를 거둔 것 중 하나지만 아직 선결돼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이중 우리가 지적코자 하는 것은 농업컨설팅 업체들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 제대로 틀을 갖춘 컨설팅을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검증받지 못한 민간 업체가 단순히 수수료를 받기 위해 이 사업에 참여한다면 오히려 농민들의 피해만 가중시킬 것은 뻔하다. 컨설팅산업이 발전하려면 일정 자격기준을 마련, 정부 또는 공공기관에 등록케 함으로써 공신력을 키워야 한다. 특히 우수한 컨설팅업체를 중심으로 민간기구를 설립토록 하고 자율적인 규약과 관리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은 물론이다. 특히 정부의 지원금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농업경영종합자금을 맡고 있는 농협이 컨설팅업체의 농업경영진단서를 통해 정책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을 도입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관련법을 보완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과제다. 농업컨설팅법을 제정하든지, 아니면 관련법에 규정을 넣어 산업을 육성하고,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이같은 제도적 보완으로 민간컨설팅 사업을 활성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농업계내의 우수한 농업인력을 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더욱 필요하다. 농업관련 기관·단체들은 나름대로의 인력체계를 구축해 지도사업이나 공공컨설팅에 활용하고 있지만 이 단체의 인력활용은 상호 연관성 없이 따로 놀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여건을 감안, 기관·단체의 네트워크화를 추진하고, 품목별로 인력 데이터베이스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컨설팅 사업과의 연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아울러 농업컨설팅이 이뤄지기 위한 기본조건 중 하나가 농가의 장부 기장이기 때문에 장부를 기록하는 농민만 정책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게 하는 것도 사업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한 방식일 것이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