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상생기금이 시작부터 흔들리고 있다. 19대 국회때 자동폐기의 아픔을 딛고 20대 국회에 들어와 농업계의 염원을 담아 힘들게 도입된 농어촌상생기금이 초반부터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아직 초기라 섣부른 판단일수 있지만 민간 기업들의 참여가 극도로 저조해 벌써부터 ‘깡통기금’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이에 따라 3월까지 기금 사업과 재원을 관리·운영하는 상생기금 운영본부를 발족시키겠다는 계획도 차질이 불가피하다. 

‘자유무역협정체결에 따른 농어업인 등의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일부 개정안이 1월 17일 시행되면서 대·중소기업협력재단은 2월 10일부터 농어촌상생기금 접수에 들어갔다. 재단은 상생기금이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1분기 내에 실무준비를 완료키로 했다. 하지만 현재까지 기부금을 출연하는 기업은 전무하다. 농어촌상생기금은 물론 여타 상생기금 실적도 극히 저조하다고 한다. 그만큼 대기업을 포함해 민간 기업들이 몸을 사리는 분위기다. 최순실 국정농단사태 등 어수선한 시국에 장기간 경기침체, 조기 대선 등이 맞물리면서 기업들이 소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그동안 농어촌상생기금 조성에 지속적으로 반대해왔던 기업입장에선 이같은 대내외적 상황이 좋은 빌미가 될 것이다. 결국 특단의 대책이 없는 한 매년 1000억원씩 10년간 1조원을 조성키로 한 목표가 수포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기금 조성이 안되면 이를 통한 사업 시행도 어렵다. 시작부터 난관에 봉착한 셈이다. 하지만 포기할 수 없다. 농업계와 국회가 농어촌상생기금 도입을 위해 농업계가 얼마나 노력해 왔는가. 이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다시금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할 때다. 정부 역시 농어촌상생기금이 제대로 운용될 수 있도록 운영본부 발족 등 실무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