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물종합처리장(LPC)사업의 조기정착은 농림부의 축산정책 사업 중 가장 시급한 해결 과제이다. 지난 94년 2001년 쇠고기 시장 전면개방에 대비해, 축산물의 생산과 유통을 계열화하고, 브랜드화를 추진한다는 취지 하에 이 사업을 처음 실시했지만 당초 기대와 달리 전면부실로 이어져 현재 애물단지로 전락해 버린 것이다.선정된 14개소 가운데 5개소는 사업이 취소되거나 포기 상태고, 건설중이거나 시험가동중인 3개소 외에 건설 완료된 4개소 가운데 2개소가 부도 또는 처분됐다. 그나마 가동중인 2개소 가운데 1개소는 가공은 못하고, 도축만 하고 있어 LPC 사업 전체가 어려움에 처해 있다.농림부는 지난 98년 이후 몇 차례 걸쳐 LPC 사업활성화에 대한 여러 해법을 모색했지만 실효를 얻지 못했다. 오히려 참여업체의 부도 등 여러 가지 벽에 부딪쳤다. 이에 농림부는 최근 축산물종합처리장과 도매시장 공판장을 한데 묶어 운영활성화사업 개선사항이라는 대책을 내놓아 주목을 받고 있다.이번 개선대책은 그동안 일률적으로 지원하던 것을 보완해 사업성과를 반영해 차등 지원함으로써 경쟁촉진을 통한 활성화를 도모해 가동률을 높이겠다는 내용이다. 축산물 종합처리장 경영안정자금을 출하약정 선도금과 경영안정자금으로 분리·지원한다는 것이다.그러나 우리는 이번 대책으로 LPC운영 활성화에 얼마나 도움이 될 지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이번 대책이 LPC 가동률 활성화에 초점을 두고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겠다고 하지만 근본적으로 국내 소 사육두수가 크게 부족한데다 기존 축산물 작업장들이 난립한 상황에서 가동률을 높인다는 것은 많은 한계가 있다. 국내 한우사육기반 확충과 축산물 작업장(도축장)정비 등 근본적인 문제점을 함께 해결해야 이번 대책이 실효를 얻을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정부가 많은 자금을 투자해 건설한 LPC가 수입육 냉장창고로 전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지육·냉동육 유통에서 냉장육·부분육·브랜드육 유통체계로 전환한다는 LPC 사업목적이 실효를 얻지 못하고 있다. LPC 사업에 참여한 업체의 브랜드가 아직 소비자에게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아무리 좋은 계획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이것이 성공하지 못하면 의미가 없다. 이번 LPC 경영안정자금이 헛되이 쓰이지 않기 위해서는 고품질의 안전한 국내산 브랜드 축산물이 정착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천 방안도 차제에 함께 강구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