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도사업의 지방화가 이뤄진 지 4년이 지났지만 제대로 실효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높다. 당초 지방농정의 자율성 보장과 차별화를 위해 단행된 농촌지도사업의 지방화는 그 순기능보다 인사와 조직, 사업진행 방식에 있어서 역기능이 더 크다는 여론이다. 이중 농촌지도직 공무원이 전원 국가직 공무원으로 전환되면서 농촌지도사업의 문제점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농촌지도직의 인사권이 도지사와 시장 군수에게 넘어간 이후 농업분야에 관심이 없는 일부 지방자체단체장은 농촌지도인력을 무참히 감축시키고 있으며, 구조조정 때마다 농촌지도직 공무원은 감축대상 1순위에 올라 농촌지도직 공무원들의 사기는 바닥을 헤매고 있다는 소식이다. 특히 이로 인해 지도직 공무원들은 자치단체장이 시키는 일이면 뭐든지 해야하는 꼭두각시로 전락하고 있고, 심지어 노점상 단속, 세금 징수, 유원지 감시원 등 타 잡무에 시간을 뺏겨 정작 농촌지도업무에는 제대로 임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것이다. 지도조직의 경우 농업기술센터의 지도직을 시·군청 산업과(농정과)의 한 계로 조직 개편을 한곳이 있는가하면 농업을 별도 사업소로 독립하거나 시·군청의 농업인력, 컨설팅 등의 업무를 농업기술센터로 이관한 경우도 있어 지도사업의 범위와 추진방법에 혼선을 빚고 있다.특히 도농업기술원이 시·군 농업기술센터을 제대로 통솔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시·군 농업기술센터와의 업무연계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어 농업인의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우리는 농업인이 질 높은 지도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러한 문제점을 조기에 해결할 것을 촉구하며, 차제에 지식정보화시대에 걸맞도록 농촌지도사업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런 의미에서 농촌진흥청이 ‘농업생명과학청’으로 탄생하는 것과 때를 같이해 농촌지도사업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 농촌진흥청은 지방으로 내버려진 농촌진흥기관의 장기적인 발전 전략을 수립해야 하고 지방농촌지도사업이 경쟁력을 높여 나갈 수 있는 근본적인 대안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이제 진흥청은 농촌지도직을 국가직으로 환원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농촌 현장의 농업인들의 여론과 요구사항을 적극 수렴해 현장기술 지도기능을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직과 인력을 개편해야 할 시점이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