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축산시책의 최대 현안 중 하나이면서 양축농가들을 불안케 한 요인 중의 하나가 구제역 재발이다. 연초부터 영국 등 20여개국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전 세계로 확산됨에 따라 지난해 혹독한 시련을 경험한 우리나라도 재발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기 때문이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특별방역대책기간을 설정(2월 24일∼4월 30일까지), 범정부적인 공조체제를 구축해 구제역 재발방지에 총력을 기울인 결과, 구제역 재발의 큰 고비를 넘겼다는 평가다. 구제역 바이러스가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 3∼4월에 정부와 방역기관, 양축농가, 관련업계 등이 모두 나서 국내외 방역에 총력을 다한 결과로 풀이된다.그러나 구제역 재발이 큰 고비를 넘겼다 하더라도 방심은 금물이라는 점을 지적하면서, 구제역 청정국가 지위를 획득할 때까지는 안심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구제역 병원균의 유입경로 등 발병원인이 아직 규명되지 않은 상황에서 자칫 방심하다가 더 큰 우를 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는 오는 6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국제수역 사무국 동아시아 구제역 방역대책회의시 방역상황을 설명하고, 9월에는 국제수역사무국에 구제역 청정국 선언을 위한 인증 신청을 할 계획을 갖고 있다. 청정국 지위를 되찾게 되면 일본 등에 돼지고기 수출을 재개할 수 있어 축산업에 새로운 활로를 찾게 된다. 만에 하나 구제역이 재발할 경우 이런 희망은 수포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이에 정부도 5월부터는 상시 방역체제로 전환하되, 국경검역은 지속적으로 실시해 나가고, 전국 일제소독은 월 2회 실시하되, 질병 예찰·혈청검사와 농가홍보 등은 지속적으로 실시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생산자와 관련업계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참여와 관심이 있어야 이러한 정부 정책은 실효를 거둘 수 있다. 지난 두달 간 구제역 재발 방지는 물론 다른 전염성 질병이 크게 줄어든 데는 전국 30만 양축농가를 대상으로 소독활동을 전개한 1만2백69개의 공동방제단의 역할이 컸다. 이들이 지속적으로 방역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부는 물론 관련업계의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다. 생산자단체, 사료 및 동물약품 업계 등이 참여하고 있는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가 공동방제단을 제대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정부는 자금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구제역 재발방지 성과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가축방역에 무엇이 문제인가를 다시 한번 점검하고 고삐를 늦추지 말 것을 당부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