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 수산경제연구원 보고서

바다모래 비중 38%, 일본 4%뿐
10m 이상 깊은 웅덩이 생겨
연안침식에 생활공간도 파괴

채취 가이드라인 마련해야
해양환경 모니터링 필수


우리나라가 골재 공급에 있어 과도하게 바다모래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이를 시급해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수협중앙회 수산경제연구원은 최근 ‘바다모래 채취로 인한 수산업 피해 현황 및 대응 방안’ 보고서(박준모 연구위원)를 내놨다.

이에 따르면 바다모래 채취로 인해 해저 지형이 변하고 이는 연안침식으로 이어져 어촌 주민들의 생활공간까지 파괴되고 있다는 것. 특히 통영시 욕지도 남쪽 EEZ 내 골재채취단지는 우리나라 연근해 주요 어업자원들의 회유경로인데다, 많은 어종의 서식장과 월동장으로 알려져 있어 어업 피해가 크다.

더욱이 바다모래 채취는 5m 깊이로 균등하게 채취돼 있음에도 10m 이상 깊은 웅덩이가 생기도록 채취해 어장환경 훼손이 심각한 수준이며, 중량을 초과한 모래채취선이 적발되는 사례도 반복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2000년대 전까지는 세계 최대 바다모래 채취 국가였으나 각 지역별로 바다모래 채취를 금지시키는 등의 노력으로 전체 골재 공급량 중 바다모래의 비중은 4.1%(2013년 기준)까지 줄었다. 우리나라는 38%(2014년 기준)에 이른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골재 사용에 있어서 바다모래 의존도를 줄이고 바다모래 채취 사업에 가이드라인을 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업 추진시 어업인 의견 반영 등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사업 전후로 해양환경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바다모래 채취에 따른 해양 생태계 복원 계획과 어업인 피해 구제방안을 마련하고, 관련 사업에 대한 단속 및 처벌 규정을 강화 해야 한다는 것이 이번 보고서 내용이다.

아울러 수산자원 서식지 보호구역을 설정해 수산동식물의 서식지 및 산란장 주변 해역에서는 바다모래 채취 행위를 전면 금지 시키고, 정부와 연구기관, 어업인이 함께 참여하는 (가칭)수산자원보호위원회를 설치·운영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정연송 남해EEZ 모래채취 대책위원회 위원장
"멸치 어획량 지난해보다 40% 줄어"

해저지형 바껴 조류 변화
물고기 회유경로까지 영향

 

“지금 멸치 어획량이 작년 대비 40% 줄었습니다. 멸치는 전 어종의 1차 먹이사슬인데, 이대로 가다가는 굉장한 타격이 있을 것입니다.”

8일 기자회견장에서 만난 정연송 위원장(대형기선저인망수협 조합장)은 바다모래 채취로 어장 파괴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남해EEZ 내 모래 채취 현장을 직접 나가보니 20~30m씩 바닥이 울룩불룩 파여 있었다”면서 “이렇게 되면 산란장이 파괴될뿐더러 조류가 바뀌어 물고기 회유 경로까지 바뀌게 된다”고 말했다.

현재 정연송 위원장은 남해와 부산에 있는 수협들을 통해 해상시위 참여 서명을 받아놨다고 한다. 그는 “만약 국토부가 오늘이라도 바다모래 채취를 허가한다면 즉각 배를 몰고 해상시위에 나설 것”이라며 “바다모래 채취는 복구가 안 되기 때문에 수산업을 하지 말란 얘기와 같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또 “골재 수급 문제는 비용이 늘어나서 그렇지 어떻게 보면 대안이 있는 것”이라며 “무한한 식량생산기지인 바다를 파괴하는 일을 놓고 경비 절감 차원으로 접근하는 것은 안된다”고 말했다.

끝으로 정 위원장은 “해운과 조선업도 휘청거리는데 이젠 수산업까지 없애려 하는 것이 아니라면 마구잡이로 모래를 파내는 일은 중단해야 한다”며 “이번 일로 수산업계와 건설업계의 괜한 다툼으로 비춰지기보다 수산업과 건설업이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발전해 나가도록 좋은 방안을 찾아내길 희망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