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8일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AI의 원인과 과학적 해법’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를 효율적이고 과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산학연이 ‘AI 범부처 과학기술 개발 협의체(가칭)’을 조직, 운영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백신 투입 여부와 관련해서는 백신의 현장 실험이 이뤄지지 않았고, 사후관리 방안도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AI 원인·과학적 해법' 포럼
"백신 정책 도입은 신중해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지난 8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AI의 원인과 과학적 해법’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송창선 건국대학교 교수는 주제발표에서 지금처럼 피해규모가 큰 상황에서는 방역 당국의 단독 해결보다 각 분야 전문가들이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에 송창선 교수는 정부와 산학연이 ‘AI 범부처 과학기술 개발 협의체’을 구성해 과학계가 개발한 기술을 현장 방역에 투입해 효율성과 과학성을 높일 것을 권유했다.

이와 관련 송창선 교수는 “현재 대학과 산업계에는 AI 관련 방역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있다”면서 “개발된 과학기술이 실제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과학 기술 개발 분야와 방역 당국, 산업체의 상호 협조 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라고 주장했다.

최영기 충북대학교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백신 접종은 임상적인 증상만 낮춰 전파를 막아줄 뿐 AI 예방과 차단의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백신 정책 도입 논의는 현장 실험과 사후관리 방안이 마련된 후 이뤄져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최영기 교수는 “백신은 예방·관리적인 차원에서 선택이 가능하지만, 예기치 못한 변이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후 관리와 모니터링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방역 인프라나 현장 실험 등 준비가 안 된 상황에서 백신 접종이 이뤄지면 오히려 바이러스를 더 전파할 수 있기 때문에 백신 정책 도입에 신중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김재홍 서울대학교 교수는 방역 당국이 국내 수의과 대학과 공조 체계를 마련해 방역 효율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방역 당국에서 예찰 등의 방역 활동을 펼칠 때 수의과 대학은 배제하고 민간업체를 대상으로만 사업 입찰을 제한해 놓은 까닭에 방역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김재홍 교수는 “방역 당국의 방역 사업에 비용 문제로 수의과 대학이 배제되는 문제가 있다”면서 “국가 방역은 예산의 문제가 아닌 인식과 연속성의 문제이므로 수의과 대학과의 공조가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백신 정책 도입과 관련해 김철중 충남대학교 교수는 “현재까지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고 변이종이 발생하기도 한다”며 “백신의 경우 매년 바이러스 형태가 바뀌기 때문에 접종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는 의견을 수렴해 오는 4월에 발표할 방역대책에 참고하겠다고 답변했다. 김용상 농식품부 방역관리과장은 “현재 정부는 그간 방역과정에서 나타난 미흡사항을 반영해 AI 방역체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토론회에서 나온 내용을 수렴해 협의를 거쳐 대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형준 기자 ahnh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