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정원의 귀농귀촌종합센터가 양재동 aT센터로 이전한 가운데 전문상담사를 증원하고 전국 통합 상담체계를 갖췄다.

귀농귀촌종합센터 aT센터로 이전, 원스톱 서비스 강화
2030 귀농, 중장년 전직·퇴직자 농촌 유입 체계적 지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의 귀농귀촌종합센터가 3일 양재동 aT센터 이전과 함께 신규 업무를 추가하는 등 원스톱 서비스 강화에 나선다.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비롯한 박철수 농정원장 등이 참석한 이날 행사에서 농정원은 센터 이전과 함께 전문 상담인력 증원과 민관거버넌스 기반구축 및 시·군 설명회를 상설화시켰다. 이와 함께 ‘청년 귀농확대를 위한 정책간담회’를 개최해 현장 의견을 수렴했다.

▲귀농귀촌종합센터 현황=종합센터는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의 안정적 귀농귀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종합상담 및 교육지원과 온오프라인 정보제공 업무를 수행한다. 2012년 농촌진흥청에서 업무를 시작한 이후 2014년 7월 농정원으로 이관됐다. 수도권 도시민의 귀농귀촌 활성화 차원에서 양재역에 개소한 종합센터는 맞춤상담과 귀농교육, 정보지원, 정책홍보를 수행한다. 

개소 이후 지난해 말까지 귀농상담 4만2563명, 귀농교육 1만7005명, 온라인 정보이용 174만5531명에 이른다. 상담 후 귀농귀촌 정착률은 2014년 9.26%에서 지난해 22.15%로 신장됐다. 교육 후 귀농귀촌 정착률도 2015년 9.1%에서 지난해 16%로 올랐다. 지난해 8월부터 조선업 밀집지역인 울산, 거제, 목포, 군산의 조선업희망센터에 전문상담사를 파견해 조선업 종사자 815명을 상담하고 1219명에게 귀농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센터이전과 함께 전문 상담인력을 확충하고 전국 9개도 지자체 및 유관기관 통합 상담체계 구축, 귀농귀촌 종합지원계획의 단계별 실행사업 추진을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한다. 전담상담사는 5명에서 7명으로 증원하고, 지자체 통합 상담에 따른 원스톱 상담서비스와 대기시간 단축 및 양질의 상담지원으로 만족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특히 지난 11월 농식품부가 발표한 귀농귀촌 5개년 종합지원계획에 따라 2030 귀농과 중장년 전직 및 퇴직(예정)자의 농촌 유입을 위한 체계적 지원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청년 창업교육농장과 대학생 농촌교류단 운영을 비롯한 귀농인과 지역민 융합프로그램 강화 상생공모전 귀농귀촌일자리 창업박람회 등이다.


청년귀농, 현장교육이 중요
아이디어 등 지원 예산 확보


▲청년 귀농확대 간담회=정민철 젊은협업농장 대표는 “장기적 관점에서 기존의 귀농정책과 20~30대 대상의 청년 귀농정책은 목표나 과정이 구분돼야 한다”며 “청년 귀농을 위해서는 단순 기술이나 이론이 아니라 현장중심 교육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또한 “청년들이 농촌으로 올 수 있는 정책과 함께 기존 농업을 이어갈 수 있는 역할부여 교육은 물론 이들이 농촌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는 청년으로 육성하자”고 제안했다.

박종관 청년 이장도 “1998년 2월 홀로 귀농해 15년 만에 이장을 맡았다”며 “청년들이 꾸준히 들어오고 있으나 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주거와 일자리”라며 “귀농종합센터 계획 중 실습농장과 같은 지역별 거점 지원체계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박 이장은 특히 “청년들의 농촌 정착을 위해서는 마을공동체 단위 지원과 멘토가 필요하므로 기존 청년 귀농지원 플랫폼을 키우자”며 “청년들의 다양한 역량을 농촌에서 펼칠 수 있도록 농촌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유상오 한국귀농귀촌진흥원장은 “청년일자리 창출에 필요한 것은 교육인데 종합센터의 귀농 현장 실습교육 예산이 부족해 지난해 560명 규모에서 올해는 500명 정도로 줄었고 이중 청년은 10%에 그친다”며 “교육만으로는 성공적 귀농을 담보할 수 없으므로 아이디어 지원이나 판로 지원 등을 위한 예산 확보와 멘토·멘티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대협 농협창조농업지원센터장은 “귀농인이 혼자 생산에서 판매까지 감당하기 어려우므로 농협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로 뭉쳐 지원하는 시스템을 갖췄다”며 “6차 산업 참여 농가의 184개 제품을 론칭해 60억원의 매출을 올렸는데 각 기관이 협력해 지원하면 좋을 것”이라고 전했다. 

채상헌 연암대 교수는 “일본은 청년 농부를 육성하기 위해 귀농 준비기간 2년 동안 연간 1800만원을 지원하고 부부의 경우 이보다 150% 더 지원한다”며 “이후 창업하면 5년 동안 지원해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게 유도하는데 연간 소득 4000만원이 될 때까지 지원한다”고 밝혔다. 채 교수는 따라서 “청년 농부들이 자기들 방식대로 성공할 수 있도록 창의적 지원과 예산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기훈 농식품부 농촌정책과장은 “귀농귀촌 예산확보에 노력하겠다”며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의 청년을 위한 차별화된 우대와 함께 농협 창업자금 상담도 불만이 제기되므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문광운 기자 moon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