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고령화 문제가 갈수록 심화되는 가운데 한 지자체가 추진하는 농촌노인 일자리 사업이 눈길을 끈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이 농촌지역 노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농촌마을 공동농장 운영사업’을 지난해 2개에서 올해 5개 지역으로 확대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 사업은 노인 인력이 마을 공동의 부지나 텃밭에 농작물 생산기반과 공동생활 공간을 조성, 농작물을 생산·재배·판매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작물을 재배할 부지, 비닐하우스, 노지 등의 공동생산시설과 작업장, 휴게공간을 조성하고 공동식생활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농촌고령화가 심각한 상황에서 농촌노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은 시의 적절하다. 아직 시작단계인 이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기엔 이르지만, 일자리가 부족하고 소득이 낮은 농촌지역 노인들에게 나름의 여가활동과 소일거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전체 농가인구 중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995년 16.2%에서 2015년 38.4%, 2016년 39.3%로 늘었고, 2026년에는 그 비율이 거의 절반인 49.3%에 이를 전망이다. 경영주 연령 기준으로 보면 2015년 기준 전체 농가 중에서 65세 이상 고령농가 비율이 53%에 달한다. 

사실 농촌 노인들은 노령화와 빈곤문제가 중첩돼 있다. 적은 규모의 농사와 현재 20만원 한도의 기초연금만으로는 노후의 인간다운 생활이 쉽지 않다. 정부는 이런 노인 일자리 외에 농촌노인들의 건강과 생활을 위해 공적 부조의 확대를 비롯한 다양한 복지대책을 촘촘하게 펼쳐야 한다. 귀농이니 청년 취농이니 해도, 결국 노후에도 지속가능한 삶이 보장돼야 농촌에 사람이 머물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