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녹용 산업은 올해 10년 사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산업 규모를 다시 넓히기 위해 적극적인 녹용 소비·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사슴, 염소 등 국내 기타 가축 산업은 산업 규모가 영세할뿐더러 FTA 체결 등으로 끊임없이 위협을 받고 있다. 녹용 산업의 경우 녹용 소비 감소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산업 규모가 10년 사이 절반으로 줄었고, 양봉 산업은 베트남과 FTA 체결로 국내 꿀 시장이 위협받고 있다. 또 염소 산업은 종축 수입을 두고 1년 이상 의견을 대립하며 성장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 기타가축 축종별 올해 해결과제에 대해 살펴봤다.


관절 건강관리 기능 초점

▲사슴=녹용 산업은 올해 적극적인 소비·홍보로 산업 규모를 넓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녹용 소비 감소로 인해 10년 사이에 산업 규모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한국사슴협회에 따르면 2015년 국내 녹용 생산량 84톤, 생산액 64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10년 전인 2006년보다 596억원, 97톤 감소한 수치다. 농가수와 사육두수도 대폭 감소했다. 2015년 기준 사슴사육 농가수와 사육두수는 각각 2505호, 3만3528두로, 지난 2006년보다 6344호, 7만5629두 줄었다. 업계는 국내 녹용 산업의 사육규모가 절반수준으로 감소한 이유로 소비자들의 녹용 소비 감소를 꼽고 있다. 1인당 녹용 및 녹각 소비량은 2001년 12.5g이었으나, 2005년 12.3g, 2010년 8.5g, 2015년 6.6g 등으로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녹용 업계는 올해 주요 소비층인 50, 60대를 대상으로 관절 등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과학적 근거를 앞세워 홍보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홍보에 드는 자금의 경우 수입산 녹용에 일정의 발전기금을 부과해 마련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주장도 업계에 널리 퍼져있는 상황이다. 업계 종사자들이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 방안까지 제시하는 상황에서 협의와 실행이 관건인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수입위생조건 제정 논란

▲염소=염소 업계는 올해 호주산 산양 및 면양 수입과 관련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호주산 산양 및 면양의 수입을 둘러싸고 업계 당사자들 간의 찬반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염소 산업이 지속적으로 축소되기 때문이다.

염소 업계가 파열음을 내기 시작한 건 2015년 7월부터다. 농림축산식품부가 호주산 산양·면양의 수입 근거가 되는 수입위생 조건 제정안을 행정예고하자, 염소 업계에서는 찬반 논란이 불거졌다. 수입위생 조건 제정을 찬성하는 측은 호주산 산양·면양의 수입으로 종축을 개량해 사육 효율성을 높여 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반대하는 측은 흑염소 사육농가 위주로 수입위생 조건이 제정되면 위생조건이 완화돼 국내 염소 산업 기반에 큰 위협이 된다는 입장이다.

이에 농식품부가 지난해 5월에 이해 당사자들과 해당 현안에 대해 협의하고 산업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지만, 지금까지 아무런 결론도 도출하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올해에는 호주산 산양·면양 수입위생 조건 제정을 두고 업계 당사자 간 합의를 이뤄 염소 산업 활성화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수입량 증가 대책 급선무

▲양봉=양봉 업계는 올해 기후변화에 따른 아까시 꿀 생산량 감소, FTA로 인한 꿀 수입량 증가 등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지난해 국내 양봉 산업에서 생산 및 판매량의 70%를 차지하는 아까시 꿀의 생산량은 1만4400톤으로 전년 2만3700톤에 비해 40%가량 감소했다. 이는 기후변화로 개화 시기가 평년보다 2주 정도 앞당겨졌고, 채밀 기간에 기온차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 12월에는 한-베트남 FTA가 공식 발효됐다. 기존의 천연 꿀 관세(243%)가 점차 15년 이내에 완전히 철폐되는데, 국내산 천연 꿀에 비해 4배 정도 저렴한 가격이기 때문에 국내산 천연 꿀 소비가 베트남산 천연 꿀로 대체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양봉 업계는 올해 국내 꿀 시장이 수입산 꿀로 대체되는 것을 막기 위해 30%가량의 잡화꿀 판매량을 적극적인 소비 홍보를 통해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 지속적인 산림면적 감소에 대비한 밀원수 식재도 중요 해결과제로 설정해 해결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끝>

안형준 기자 ahnhj@agrinet.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