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에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산란계 사육마릿수의 33%를 살처분 매몰하고, 이동제한으로 계란 출하가 막히자 시장에서 계란 가격이 폭등했다. 언론은 텅 빈 대형마트 계란 판매대는 집중적으로 비추며 호들갑을 떨었다. 이에 정부는 계란 수입이라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미국과 호주, 스페인 등지에서 수입하는 계란의 항공료 절반을 제공하고, 할당관세를 적용하는 등 계란 수입을 적극 장려했다.

문제는 정부의 계란 수입이 면책용 발상에 지나지 않다는 점이다. 계란 소비 특성상 명절 전에는 계란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번 설에는 AI와 맞물려 일시적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단지 일시적인 계란 부족과 이에 따른 가격상승으로 계란 수입을 진행하는 것은 책임 회피용 발상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또 계란 수입이 생산자나 소비자 누구에게도 정부의 의도만큼 와 닿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농가들은 AI 피해 복구에 몰두하다 계란 수입 소식에 허탈감을 감출 수 없었다. 한 번 계란 수입의 빗장이 열린 이상, 수입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걱정에서다. 또 소비자단체들이 소비자에게 계란 대신 대체재 섭취를 적극 권유하는 상황에서 계란 수입이 이뤄진 것은 소수의 수입업자 주머니만 채워주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도 일고 있다.

정부가 이번 계란 파동을 반면교사 삼아 국내 계란 유통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정부는 계란이 부족하면 수입을 하면 된다는 단편적인 발상과 대책보다는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