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초부터 농산물 가격 전망이 밝지 않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농산물 가격폭락으로 많은 고통을 경험한 농민들은 올해 제2농산물 값 폭락을 맞게 될 경우 또 다시 빚을 지게 돼 농업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고 걱정하고 있다. 농림부는 올해 농산물 가격안정을 위해 다양한 유통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무엇보다 농민들이 농업관측을 제대로 활용,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농업관측의 목적은 농산물 제값 받기에 있음에도 농민들이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이다. 농림부는 지난해부터 유통부분에 상당한 투자를 하면서 농산물 수급조절을 위해 각종 현장 정보를 수집·분석, 미래를 예측하고 장기적인 농업관측 결과를 농민에게 제시해 생산과 출하를 돕고 있다. 그러나 농민들의 관측정보에 대한 무관심, 전문기관의 부재, 잦은 담당 부서의 교체, 제한된 예산 등으로 잘못된 관측정보가 나와 농민들이 활용을 기피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고랭지 무·배추는 출하량 증가로 가격 하락을 전망했으나 8~9월 태풍과 비 피해로 전년보다 40% 이상 가격이 급등한 것이 이를 반증해 주고 있다. 농림부가 농업관측정보를 바로잡기 위해 올해부터 생산이전 단계에서 재배면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소식이다. 특히 농업관측 대상을 18개 품목에서 24개로 늘리고 관측정보를 종전 17만2천부에서 30만부로 늘려 신속 한 전파체계를 구축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한다.하지만 이런 보완 정도로는 농민들이 농업관측을 활용하는데 한계가 많을 것이다. 농업관측에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서는 소비패턴의 변화 등 국내 요인 뿐 아니라 중국 등 수출국들의 동향을 비롯한 국제곡물가격 등 국제요인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 정부가 기본 인프라 구축에 기구와 예산을 투입하는 등 앞으로 계속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말고, 이것이 품목별로 더욱 세분화돼 발전하도록 농협 등 농민단체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뒤따라야 한다. 특히 축산관측정보는 과거 (구)축협중앙회가 제공할 때 보다 뒤떨어진다는 것이 양축농가들의 지적이다. 결국 농업관측 정보는 생산자 단체가 적극 활용하지 않으면 실효를 거둘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하고 올해는 새로운 모습으로 농민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관측정보가 영농현장에 실제 반영돼 가격안정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농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정부의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보 생산이 선결과제가 됨은 물론이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