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축협, 살길은 무엇인가일선 지역축협들이 최대 경영위기를 맞고 있다. 상호금융 특별회계 손실액 2천2백34억원이 통합 당시 곧바로 보전되지 않아 올 연말까지 회원축협의 추가 손실이 8백억원에 달한다고 한다. 이중 농협 7%, 축협 3%의 예치금리 차등 지급으로 인해 2백8억원의 상환준비예치금 금리 차손이 발생한 것도 한 몫을 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손실은 현재로선 회원축협이 부담할 수밖에 없어 대부분 조합의 적자 결산이 불가피하고, 이에 따라 경영부실 조합의 연쇄 파산 사태까지 우려된다는 것이다. 1백93개 회원축협 중 84%에 달하는 1백60개 조합이 적자 결산이 예상된다는 소식은 큰 충격이 아닐 수 없다.결국 이는 회원조합 전체 신인도 저하는 물론, 예금인출 사태 발생으로 이어지고 신용 질서가 붕괴돼 국가경제 발전에까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축협조합장들도 이런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 농협중앙회를 상대로 상환준비예치금 차등적용액, 총 2백8억원을 연말결산까지 지급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뚜렷한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정부도 지난 9월 29일 손실보전방안을 발표했지만 아직 가시적인 손실 보전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다만 정부는 자본잠식 또는 과다부채 상태에 빠진 농협중앙회 산하의 부실조합 2백9개를 2002년까지 통폐합, 모두 정리한다는 방침 아래 1조원 가량의 공적자금을 투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 한다. 그러나 우리는 정부가 이런 대책을 추진하기 앞서 이미 발표된 경영보전대책을 과감하고 신속하게 매듭 지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한갑수 농림부 장관도 통합이후 발생한 축협의 결손분은 정부가 해결해 주겠다고 한만큼 이 부분에 대한 확실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 농협중앙회도 보다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은 물론이다. 농·축협이 하나가 된 마당에 회원축협이 지고 있는 경영손실에 대한 깊은 상흔이 제대로 치유되지 않아 화학적 통합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회원축협들도 차제에 과연 현재와 같은 구조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인가를 냉철히 판단하고 새로운 변화를 기해야 한다. 내년 쇠고기시장 개방과 더불어 축산업의 여건은 갈수록 악화될 수밖에 없어 회원축협에도 적지 않은 영향이 있을 것이다. 이번 기회를 통해 축협은 업종별 조합으로의 전환을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업종조합 부실이 더 심각하다는 이유를 들어 업종별 조합의 설립에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면 회원축협의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