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미래부, 임상시험 비용 등 지원 확대

정부가 바이오산업 육성 차원에서 농생명 소재산업과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등을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17일 ‘제4차 바이오특별위원회’를 개최하고 농생명 소재산업 육성방향과 바이오의약품 규제관리 선진화 방안,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추진 개선 및 2017년 바이오특별위원회 운영계획 등을 심의, 확정했다.

농생명 소재산업 육성방향의 경우 농식품부와 미래부, 보건복지부 등 6개 부처가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스타 농생명 소재 발굴에 나선다. 올해 농생명소재발굴추진단을 구성해 소재별 기술로드맵을 마련하고 민간주도 C&D(연계개발)형 프로젝트로 스타 농생명 소재를 발굴키로 했다. 또한 사업화 촉진을 위해 기술사업자금지원을 확대하고 임상시험 비용을 지원하는 등 전 주기 사업화 지원방안도 마련한다. 향후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세부 추진계획을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추진 개선은 미래부, 농식품부, 복지부 등 7개 부처가 최신 연구동향을 반영하고 비효율적 사업구조를 개편해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에 대한 개선책을 마련했다. 포스트게놈 유전체사업은 2014년~2021년까지 5788억원의 예산이 집행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우선, 현재 일부 부처에서 운영되는 연구단 형태를 2018년부터 공동사무국(범부처 사업단) 체제로 전환해 부처 간 연계·협력을 강화하고, 각 부처 연구범위를 재조정해 연구 중복을 방지하면서 시너지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한 신규 생명현상 연구와 빅데이터 분석·활용을 위한 혁신적 분석 프로그램 개발 등 최신 연구영역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면서 부처간 공동연구과제 발굴을 대폭 확대한다. 2017년까지 1단계 기간이며, 우수성과는 2간계(2018년~2021년)까지 계속 지원된다. 

바이오의약품 규제관리 선진화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올해 세포치료제 등 총 6건의 가인드라인을 제·개정하고, 바이오 융·복합제품 분류기준·절차 마련, 유전자치료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제정 등 최신 기술동향을 반영해 첨단바이오의약품 허가심사 기반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바이오의약품 GMP 상호인정 협약 국가를 내년도 1개에서 2022년 3개로 늘리고, 백신 제조업체 1대 1 맞춤형 기술지원을 통해 PQ인증을 2015년 15개에서 2020년 25개로 확대하는 등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진출 지원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문광운 기자 moon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