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가 올해 업무계획의 제1화두로 농업인 소득 5000만원 달성을 내걸었다. 김병원 농협중앙회장의 신년사를 필두로 농협중앙회의 각 부문별 올해 업무계획에서도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이 공통목표로 첫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농가소득 중 정부조차 20년 넘게 높이지 못했던 ‘농업소득을 높이겠다’는 게 이번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 계획의 핵심이라는 점에서 달성여부에 쏠리는 관심도 높은 상황이다. 

올해 업무계획 제1화두 ‘농업인 소득 5000만원 달성’ 
2020년까지 달성하려면 총 1278만원 추가해야 가능

1994년 이후 농업소득은 900만~1100만원 대서 정체
정부 ‘농업외소득 제고’ 정책방향과 달라 가능성 주목


통계청이 조사한 지난 2015년 농가소득은 총 3722만원가량. 소득종류별로 농업소득 1125만7000원·농업외소득 1493만9000원·이전소득 790만6000원·비경상소득 311만4000원 등으로 농업소득은 지난 1994년 1032만5000원을 기록한 후 정체를 반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협중앙회는 2020년까지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을 목표로 △농가 수취가격 제고 △농업경영비 절감 △농식품 부가가치 제고 △농외소득원 발굴 △농가소득 간접기여 등의 방식으로 총 108만9000가구를 대상으로 330만원가량의 소득을 제고하겠다는 계획이다.

2015년 기준으로 2020년 농가소득이 5000만원이 되려면 총 1278만원의 추가적인 농가소득 제고가 필요하다. 농협중앙회는 이에 대해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감안해 2020년 농가소득이 4335만원이 될 것이라고 가정하고, 농가소득 제고에 대한 정부와 농협의 보완적 역할을 감안했다.

이를 바탕으로 농가당 330만원가량의 농가소득을 제고하겠다는 게 농협의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의 핵심내용. 이를 위해서는 범 농협이 3조6000억원 규모의 농가소득 지지를 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분야별로 거래교섭력 강화 및 농산물 유통비용 절감 등을 통한 농가 수취가격 제고로 1조2000억원, 농자재 가격 인하 및 금융우대 등을 통한 농업경영비 절감으로 8000억원, 6차산업 인증농협 육성 및 청과류 등 농식품 부가가치 제고를 통해 3000억원의 소득을 지지한다는 것.

또 태양광 등 신규소득원 발굴과 함께 농촌관광 등의 도농교류 추진을 통해 농외소득원을  발굴해 1000억원을, 농업·농촌에 대한 이해증진 사업과 농업인 문화복지지원사업을 통한 농가소득 간접기여로 1조2000억원의 소득을 지지한다는 계획이다.

농가소득은 크게 농업총수입에서 농업경영비를 뺀 ‘농업소득’과 다른 사업을 경영하면서 얻는 겸업소득과 근로 등을 제공하고 얻는 사업외소득을 포함한 ‘농업외소득’, 그리고 공적보조금과 사적보조금 등을 포함한 ‘이전소득’, 이외 경조수입이나 퇴직금 사고보상금 등의 ‘비경상소득’으로 나뉜다. 이중 농협중앙회가 보전하겠다는 소득의 대부분은 농업소득에 속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농업소득은 지난 1994년 1000만원을 넘어선 후 20년이 지난 현재까지 900만~1100만원대에서 등락하면서 정체를 보여 왔다. 물가인상률까지 감안을 하면 오히려 하락한 셈이다. 그만큼 농업소득은 높이기 어렵다는 것으로, 수년전부터 정부에서도 6차산업 활성화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방식으로 농업외소득을 높이겠다는 쪽으로 농가소득 증대로 방향을 튼 상황이다.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농업소득 향상에 방점이 찍혀 있고, 이를 위한 세부계획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달 중으로 가칭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 선포식을 열고, 사업부문별 농가소득 추진과제를 수립해 확정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진우 기자 leej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