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농산물이 물가인상의 주범으로 내몰리고 있다. 설 명절을 앞두고 일부 언론과 방송들이 때 만난 듯 물가인상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늘 그렇듯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부담 주범 및 원흉은 농산물이다. 물량 부족으로 몇몇 품목이 상승한 것을 두고 모든 농산물값이 상승한 것처럼 부각시킨다. 도대체 그 근거가 무엇인지, 잘못됐어도 한참 잘못됐다. 물론 본보도 지적했듯이 무, 양배추, 당근 등 월동채소는 파종기와 생육기 가뭄과 태풍으로 작황이 나빴고, 몇 년간 낮은 시세 탓에 재배면적이 줄어 가격이 오른 품목이 있다, 하지만 오히려 채소류 중 평년보다 가격이 하락한 품목이 많고, 바닥세에 머물고 있는 품목마저 있다. 실제 aT 농산물유통정보 26개 품목 도매값이 평년보다 높게 형성된 것은 13개, 절반에 그친다. 더욱이 전년과  비교해선 12개 품목만이 가격이 높다. 특히 상추류, 얼갈이배추, 건고추, 생강 등의 품목은 평년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바닥세다. 가락시장 가격 표준지수도 평년 100p 기준 13일 기준 101.22p로 평년과 다름없다. 이런데도 농산물이 마치 물가폭등의 주범인 양 난리를 피운다. 농산물값을 잡아야 물가가 안정된다는 논리도 우습다. 소비자 물가지수에서 농산물 비중은 8.8%에 불과하다. 배추 0.2% 등 품목별 비중은 더더욱 미비하다. 배추값 50% 상승 시 소비자물가 상승 기여도는 0.06%p로, 커피의 4분의 1에 불과하다. 이처럼 농산물값이 단기간 급등한다 해도 실제 물가 상승 견인도는 극히 미비한 것이다. 더 큰 문제는 농산물값이 연일 언론에 오르내리면 소비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장기 경기침체로 가뜩이나 소비가 제대로 안되는 상황에서 농산물값 급등 소식은 소비절벽을 심화시킬 뿐이다. 그 피해는 고소란히 생산자인 농민에게 돌아오게 된다. 보다 신중하고 객관적인 언론 보도가 요구된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