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돼지값 폭락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양돈농가들의 목소리가 드높다. 돼지를 사육하면 할수록 손해를 보는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 많은 양돈농가들의 도산과 양돈산업의 붕괴가 필연적이라는 것이다. 정부는 물론 생산자단체 등 모든 양돈 관련인들이 양돈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모든 총력을 경주하고 있지만 속수무책이다. 오히려 돼지가격은 바닥을 모르고 추락하고 있다. 경제불안과 출하두수 과다현상이 복합적으로 겹쳐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양돈불황을 극복하기 위한 획기적인 대책 마련이 없는 한 문제의 심각성은 크다. 정부는 물론 협동조합, 생산자단체, 관련업계 등 양돈관련인들은 이 시점에서 철저한 자기 반성과함께 새로운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정부는 돼지고기 수급안정을 위해 생산조절 및 돈육소비확대, 수매육 판매조절 등 많은 대책을 내놓았지만 실효를 얻지 못하고 있다. 구제역 발생이후 돈육수출 중단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해 홍콩 등 동남아 시장을 공략하고 있지만 성과가 미미하다. 특히 정부의 양돈정책이 과거보다 힘을 받지 못하는 원인에 대한 분석과 대책이 있어야 한다. 우선 정부의 정책을 일선 현장에서 추진할 주체가 너무 미약하다는 것이다. 농협중앙회와 대한양돈협회가 있지 않느냐는 반문을 할 지 모르지만 한계가 많은 게 사실이다. 농협중앙회는 구 축협중앙회가 과거 양돈불황 때 보여준 열정을 반만이라도 보여준다면 현재의 양돈산업이 여기까지 오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비판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이제라도 일회성, 전시성으로 끝나는 홍보행사를 지양하고 양돈농가의 피부에 와닿는 대책을 마련 해야 한다. 돈육 안·등심과 뒷다리 소비홍보를 위한 지속적인 홍보 강화와 함께 일선 축협은 물론 단위농협까지 양돈불황 극복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특히 현재와 같이 자신들만 살겠다는 양돈농가가 있는 한 국내 양돈불황은 극복할 수 없다. 돼지가격 안정을 위해 양돈농가 자율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모돈 10% 감축운동이 농가들의 참여부족으로 실효를 얻지 못하고 있다. 10월 말 현재 목표두수가 9만3천두에 35%인 3만3천두만이 도축에 참여한 사실이 이를 반증해 주고 있다. 농가들은 모돈 감축 이후의 대책이 없기 때문이라고 항변하고 있지만 더이상 상황이 진전된다면 농가들도 이에 대한 책임을 모면할 수 없다. 정부를 비롯한 모든 양돈 관련인들이 제 역할을 철저히 할 때 양돈불황은 조기에 극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수출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