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농림부와 농협중앙회의 2단계 협동조합개혁 추진계획과 관련, 최대 관심 중 하나가 중앙회의 사료공장을 누가 선점하느냐다.농협중앙회의 9개 사료공장을 회원조합에 이관한다는 방침이 확정됨에 따라 이를 인수하기 위한 일선 지역축협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안산배합사료공장 인수와 관련,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이미 인수의향서를 중앙회에 제출했고, 수원축협 등 경기 남부지역 7개 지역축협도 인수의향서를 제출키로 했다. 일선 축협들의 이런 움직임은 다른 지역의 배합사료공장에서도 경쟁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움직임은 중앙회를슬림화하고 회원조합과 경합하는 사업은 회원조합에 이관한다는 협동조합 개혁의 기본 취지에 따른 것이지만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사실 지역축협 입장에선 어떤 형태로든 사료사업에 참여를 갈망하고 있다. 구 축협중앙회의 경제사업중 사료사업이 경영수지에 큰 효자노릇을 했고, 사료공장을 갖고 있는 지역축협들도 다른 조합에 비해 비교적 경제적으로 여유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민간사료업체들도 축산업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를 축적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중앙회 사료공장 인수를 희망하는 조합들이 만일 수익에만 집착, 이 사업에 참여하려 한다면 많은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구 축협중앙회의 사료사업은 양축농가를 위해 많은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료가격 하락요인이 있으면 즉시 단행, 민간 사료회사들의 가격조정을 유도했고, 일선 회원조합 사료공장의 원료구매 및 품질 안전성에 대한 사양지도 등도 앞장섰다. 사료공장을 인수하는 회원조합들이 이런 역할을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 주목되는 부분이다.물론 계통조직을 통한 판매를 확대하고, 축산농가의 전이용 비율이 높아지면 사료시장에 많은 변화를 줄 수 있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가격 및 수급, 품질 등 여러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이에 따른 피해는 결국 양축농민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이런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명확한 대책 없이 조합들이 수익성 제고 마인드만으로 사료공장 인수에 너나없이 나서는 것은 분명히 경계해야 한다.농협 사료사업 구조조정을 담당하고 있는 농림부와 농협중앙회 담당자들은 민간 사료업체들이 왜 침묵하고 있는지를 깊이 인식하고 농협중앙회의 사료사업 구조조정을 현실에 맞게 단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