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와 비슷한 시기에 구제역이 발생한 일본이 6개월만에 청정국으로 복귀했다는 소식이다.국제수역사무국은 지난달 말 프랑스 파리본부에서 구제역 기타질병위원회를 열고 일본의 구제역 청정국 복귀를 승인했다. 일본은 구제역 발생 이후 백신을 접종하지 않고 강도 높은 살처분 정책을 추진, 청정국으로 복귀했지만 우리는 그렇지 않았다. 구제역 반경 5백m 이내 우제류는 살처분하고, 10㎞이내는 백신을 접종함으로써 지난 8월 31일 예방접종을 마친 우리의 구제역 청정국 복귀는 내년 9월 1일 이후에나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국제수역사무국 규정에는 예방접종을 끝낸 시점에서 12개월이 지나야 비로소 구제역 청정국 승인 요청을 할 수 있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 어떻든 우리 나라와 국제수역사무국 규약을 함께 적용 받고도 일본이 최단기간에 청정국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물론 양국의 발생상황이 달라 청정국 복귀시기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본의 구제역발생 대처능력에 우리보다 우위에 있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우리가 지적코자 하는 것은 내년 9월 이후 조기에 청정국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제역 재발방지에 총력해야 한다는 점이다.물론 정부가 구제역 재발 방지를 위해 관심을 갖고 최선을 다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지난 8월 전북 김제에서 구제역 가상 발생훈련을 한데 이어 한갑수 농림부 장관이 부임한 후 제1차 현장농정회의를 충남 홍성에서 개최한 것 등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선 현장에서 구제역 재발 방지에 허점을 드러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구제역 백신접종 한우가 출하증명서도 없이 우상인을 통해 불법 매매되고 있지만 해당관청은 이를 방관하고 있고, 방역 등의 사후 관리도 형식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구제역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농장의 정기적인 소독 관리가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도 영세 부업농가들은 이를 제대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들을 지도 관리해야 할 각 시도의 방역시스템이 미흡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현재의 제도 및 조직 등 방역시스템을 보완해 중앙 집중적이고 강력한 방역행정망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각도 농협지역본부나 단위농협들은 부업축산농가들이 소독방역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사업을 철저히 해야 한다.정부는 일선 현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허점을 찾아 철저하게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백신접종축의 관리는 물론 우제류 가축의 주기적인 혈청검사, 차단방역 등에 모두가 합심,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