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양돈산업이 심상치 않다. 산지 돼지값이 큰 폭으로 하락, 농가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뚜렷한 대안이 없다. 이런 상태로 가다간 일선 현장에서 우려하는 ‘양돈대란설’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21일 현재 돼지값은 1백kg 기준 14만1천원으로 지난 연말 19만5천원보다 28% 하락했다. 이는 구제역 발생으로 돈육 수출이 중단된 데다 사육두수가 9월말 사상 최고인 8백56만두에 육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돼지고기 소비도 성수기임에도 불구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것도 한 요인이다. 이런 상황에서 농림부가 지난 22일 돼지가격 안정대책을 적극 추진한다고 나섰다. 생산자와 사육농민들의 자율적인 생산 조절과 돼지고기 소비 홍보 강화, 돼지고기수출 적극 추진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으로 장기간 우려되는 양돈 불황을 극복하기엔 한계가 있다. 이는 매년 돼지값이 하락할 때마다 단골로 내놓는 대책이기 때문이다. 물론 현 시점에 사육두수를 자율적으로 감축하고 돼지고기 소비를 확대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무리한 모돈 감축은 오히려 수입확대를 가져올 수 있으며, 돼지고기 소비를 획기적으로 확대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이런 정부의 대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생산자단체, 농가, 유통인, 그리고 소비자단체 등 모두가 양돈산업의 위기를 인식하고 함께 나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생산농가는 불량모돈을 과감히 도태하고 소비자들은 국산 돼지고기 구입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현재 공급 과잉인 돼지고기의 처리 문제이다.구제역 발생이후 수출 중단으로 빚어진 돼지고기 재고물량 처리와 수입돼지고기 관리대책이 시급하다. 국내산 재고물량은 대부분 안심 등심 등 수출부위들이다. 돈까스를 대량 생산, 학교급식을 추진하는 한편 홍콩 등 동남아 수출길을 모색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보다는 최근 양돈업계에서 제기하고 있는 돼지고기 대북지원 방안을 적극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지난 98년 우리는 재고분유를 북한으로 보내 낙농불황을 극복한 사례가 있다. 비싼 외화를 들여 쌀을 수입, 지원하는 것 보다 국내 에 남아 돌아가는 돼지고기 재고물량을 보내 양돈농가의 어려움을 해결해 주어야 한다.아울러 돼지고기 수입이 지난해보다 다소 줄고 있지만 이중 많은 물량이 국내산으로 둔갑 판매되고 있다는 점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원산지 표시 강화·단속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도 양돈불황을 극복하는 중요한 일이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