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이동체 농업현장 적용 최적화 공동기획연구에 대한 공청회가 구랍 27일 한국농기계글로벌센터에서 개최됐다.

무인이동체(농업용드론)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분석해 농약 및 비료의 살포시기와 살포량, 수확시기 결정 등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농기계조합        
무인이동체 농업현장 최적화 연구 공청회
세분화된 농지환경에 맞는 영농비료·농약 살포 등 필요
드론이 수집한 데이터로 정책 수립·예산 효율성 강화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은 구랍 27일 한국농기계글로벌센터에서 50여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과학영농 구현을 위한 무인이동체 농업현장 최적화 연구’ 공청회를 개최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 미래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참여하는 ‘다부처사업’으로 드론을 활용한 영상촬영 및 처리, 비료·농약살포기, 농업데이터처리 등의 기술과 장비를 확보하는 사업추진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다.

이 자리에서 이시민 농기조합 품질인증팀장은 드론을 이용한 영상촬영과 데이터 수집, 데이터분석, 의사결정, 영농으로 이어지는 과학영농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지도, 경작지 정보, GIS(지리정보체계), 위성정보,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정보 등을 통해 세분화시킨 농지를 기반으로 영농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면서 “이렇게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해 농약 및 비료 등의 종류, 살포량, 수확시기, 재배품종 결정 등 의사결정에 활용하고, 세분화된 농지환경에 최적화된 맞춤형 비료 및 농약살포, 파종, 관개, 수확 등 영농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드론기체, 임무장비(파종기, 방제기 등), 분석소프트웨어 등 농업데이터 획득 및 분석, 작업효율성 증대 등을 위한 통합된 기술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부처사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무인이동체 농업현장 적용 최적화’ 연구를 통해 확보된 기술을 바탕으로 산림, 재해, 교통, AI(조류인플루엔자)방역 등에 적용할 경우 국가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이시민 팀장의 설명이다.

공청회에 따르면 농업분야에서 무인이동체를 일부 활용하고 있으나 병해충 방제, 비료사용, 파종 등과 같은 영농현장 활용분야의 연구는 미미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이시민 팀장은 “드론 설계 및 제작기술은 확보됐으나 농약살포 등 일부 용도 이외 상업용 드론의 비행신뢰성 확보가 미흡하고, 드론 탑재 임무장비는 상업용 국내기술의 부재로 해외구매에 의존하고 있다”면서 “드론 운영과 제어, 영상처리 등의 소프트웨어 기술도 해외구매에 의존하고 있으며 드론 상용화를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도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반면 미국, 유럽 등지에서는 촬영된 영상자료를 기반으로 3차원 농경지 지도를 제작하고, 농작물 수량이나 크기, 생육지수, 잡초식별, 토양상태 등을 분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개발돼 있다. 아울러 경작지 및 농작물에 직접 부착 가능한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해 있다.

따라서 이시민 팀장은 “1단계로 전국적인 생육상황 및 실시간 재해파악 등 영농현장에 최적화된 무인기 탑재 임무장비 개발 및 실증시험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통해 혹한기, 혹서기 등에도 작업이 가능한 전용드론과 기 개발된 드론에 탑재할 영상촬영, 방제, 시비, 파종 등의 임무장비, 데이터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후 2단계 사업으로 실증시험을 통해 드론 및 임무장비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3단계로 영농에 본격 활용하자는 것이 이시민 팀장의 제안이다. 또한 이 기술이 상용화될 경우 농업생산성 향상과 농가경영안정화, 국산기술의 수출과 같은 경제적 효과 외에 정책적 효과도 기대된다. 즉, 재해피해조사 시 드론을 활용한 영상정보수집과 관련데이터를 바탕으로 정확한 정책수립과 예산산정이 가능해 농업정책의 투명성과 예산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게 이시민 팀장의 설명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