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한우와 젖소에 발생한 구제역이 돼지에도 감염되는 것으로 밝혀져 국내 양돈농가는 물론 사료 등 관련업계가 초 긴장하고 있다. 구제역이 국내에서 한달여간 소에서만 발병하고 돼지는 현재까지 감염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지만 영국 퍼브라이트연구소에 의뢰한 결과 감염 가능성이 커 국내 양돈업계는 물론 전 축산업계의 큰 피해가 예상되기때문이다. 특히 올 가을 구제역 바이러스균이 다시 국내에 엄습할 것으로보여 방역당국을 더욱 긴장케 하는 것이다. 농림부는 이에 따라 보호구역에 대해서는 구제역이 발생한 젖소, 한우, 돼지, 염소 등 모든 우제류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백신접종한 가축에대해 수매처리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일부 축산농가들은 이러한정부의 정책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이동제한으로 인한 도축의 어려움과 백신접종으로 인한 각종 부작용 등을이유로 들고 있다. 특히 일부농가들은 오히려 살처분 보상을 요구하고 있는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우리는 앞으로 예상되는 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해서는 예방접종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대안이라는 것을 강조코자 한다. 과거 EU나 영국이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해 살처분한 경우가 있었지만 이제는 이런 정책을 추진하는 국가는 드물다. 환경공해 등 각종 부작용이 크기 때문이다. 이번 구제역 발생 해당가축이 전국 6개 지역내 총 80만두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를 한꺼번에 살처분 할 경우 소각, 매몰의 어려움은 물론 사회적 문제까지 유발되는 등 현실적인 어려움이 크다. 이런 의미에서 살처분 보다는 정부의 예방접종 정책이 현실적 대안이 될수 있다. 이를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정부의 백신접종 정책에 대한 농가들의 올바른 이해와 함께 정부가 백신접종으로 인한 부작용 문제를 적극 해결해야 한다. 구제역 백신접종을 받은 축산농가들이 증체율 감소, 위축돈 발생, 무발정, 폐사 등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축산농가들은 백신 부작용에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접종을 권장하는 정부의 방역방침에 동의할 수 없으며 2차 백신접종을 반드시 해야 하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한 대안이 예방접종이라면 축산농가와 함께이러한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야 하며, 그래야 향후 예측되는축산업의 큰 재앙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을 거듭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