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서 건물이 있지만, 소방관은 없다. 농촌지역에서 종종 마주치는 일이다. 소방관서 통폐합으로 소방관이 한 명도 배치되지 않은 119지역대가 전국적으로 189개소에 이른다. 

소방서는 국민의 생명 ·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공공의 안녕 질서 유지와 사회 복지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화재예방과 진화, 응급구조 등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최소한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꼭 제공받아야 하는 국가의 의무 서비스다.

농촌지역은 재난발생시 피해의 저감 및 방재시설이 취약하고, 고령자와 다문화가정 등 안전 취약자가 많다. 2015년 기준 우리나라 7개 특광역시의 전체 인구 비례 재해취약자(고령 등) 비율이 22~26%인데 비해 농촌지역 시군의 재해취약자 비율은 33~47%까지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농촌지역은 인구가 적다는 이유로 기존의 재난대응 주무관서인 소방서를 없앤 곳이 많다. 119 지역대가 폐쇄된 지역의 경우 광역 관할지역대에서 소방차가 출동하는데 걸린 시간이 평균 10분 56초, 거리로 6.4km가 소요된다. 이는 비상 상황 발생시 골든타임으로 규정한 5분을 초과한다. 

농촌지역은 도시지역에 비해 태풍, 지진, 폭염과 가뭄, 화재 등 자연재해와 재난의 영향을 강하게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런데도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는 선진국형 방재안전체계를 구축한 반면 농촌지역은 개도국형 방재체계를 보이고 있다. 

정부가 아무리 귀농, 귀촌을 권한다 해도 각종 공공서비스마저 취약한 농촌에 살기 어려운 노릇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인력과 예산을 소방안전 부문에 우선 배분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