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구제역 발생으로 우리 축산농가는 물론 축산관련업계가 큰 시름에 잠겨 있다. 이는 산지 소, 돼지 등 축산경기가 좋지 않은 요인도있지만 향후 축산업의 전망을 불투명하게 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국내 축산업 중 수출유망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양돈산업이 수출중단이란 위기를 맞으면서 더욱 그렇게 보인다. 이러한 당면한 축산현안을 어떻게 슬기롭게 극복할 것인가. 요즘 정부는 물론 축산농가, 생산자단체, 학계, 관련업계 등 모든 농업계가 구제역 극복을 위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다행히 지난 16일 충남 홍성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진정국면을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국적으로 축산농가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한축산물 소비촉진 캠페인 행사가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국민들도 그어느때보다 축산물 더 먹기운동에 참여하고 있어 축산농가에겐 더욱힘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대책만으로 축산농가의 시름을 달래기엔 역부족이다. 농림부는 이동제한 지역내 돼지를 수매하고 차단방역을 실시하는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구제역 발생지역의 현장 농민들은 정부의 대책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현재 살처분한 소에 대한 정부 보상의 산정 기준 현실화라든가 백신의접종을 명확히 하라는 것, 투명하고 체계적인 방역대책 추진 요구 등이 그것이다. 특히 돼지고기 대일수출 중단으로 돈육수출업체들이 심각한 자금난에 직면, 도산직전에 있고 소비자들의 선호부위가 삼겹살과 목심인 상황에서 선호도가 낮은 안심과 등심, 전·후지 등 주요 수출부위가 국내시장에 유통되지 못해 재고로 적체되고 있는 것도 큰 문제다. 우리는 구제역이 발생하면 이러한 일련의 사태가 올 것이라고 예견했다. 이미 구제역 발생으로 양돈산업이 초토화된 대만의 사례를 극히 잘 알고 있는 것이다. 이제 구제역을 하루빨리 슬기롭게 극복하고 새로운 축산업의 활로를찾는데 우리 모두가 매진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그러기 위해 가축방역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인식하고 철저한 방역시스템 구축과 함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선 현장농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 실현 가능한 것은 해결해 주는 신뢰받는 농정을 펼쳐야 한다. 돼지고기 수출업체들에 대한 특단의 대책도 있어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 양돈농가들도 정부가 친환경 축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청사진을 갖고 있는 만큼 축산분뇨처리 문제에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거듭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