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시민방사능감시센터가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분석결과를 내놨다. 올해 1월부터 국내 재래시장 및 대형할인마트에서 유통되는 멸치와 오징어, 명태 등 총 105개에 대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다. 소비가 많은 수산물 품목 105개 시료 중 숭어 3건, 명태 1건, 가쓰오부시 1건 등 총 5개 시료에서 ‘세슘137’이 검출됐다. 이들 5개 시료의 ‘세슘 137’ 평균 검출 농도는 0.80베크렐(Bq/kg). 지난달 한산림이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방사능검사에서도 디포리 품목에서 ‘세슘137’ 0.55베크렐이 검출된 바 있다.

이 같은 방사성물질 검출은 우리나라 기준치 100베크렐에는 한참 못 미친다.(단 일본산 식품에서 1베크렐 이상 검출될 경우 추가 확인) 미국의 기준치는 1200베크렐, 캐나다·호주·뉴질랜드는 1000베크렐까지다.

비록 검출된 방사능물질양이 미량이긴 하나 정부가 소홀히 넘겨서는 안 될 문제다. 이번 조사에서 ‘세슘137’이 검출된 러시아산 명태와 일본산 수산가공품 가쓰오부시는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으나 국내산 숭어의 경우 원인 추정이 어렵다. 또 일본 원전 사고 이후 미량이지만 수산물에서 방사능물질이 꾸준히 검출돼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부가 수산물 안전성 담보를 위해 보인 태도는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주기 어렵다. 지난 4월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이 ‘일본산 수산물의 방사능 안전성 분석 문서’의 정보공개를 청구했으나 식약처는 이를 거부했다. 우리나라 정부가 일본 수산물의 안전성을 검증한다고 ‘방사능안전관리민간전문위원회’까지 구성했으나 이런 저런 핑계로 조사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민간이 나서 방사능물질 검사를 직접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제라도 정부가 수산물에 대한 방사성물질 검출 정보를 보다 투명하게 알리고, 검출 원인에 대해 면밀하게 조사할 필요가 있다. 미량의 방사능물질이라도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와 임산부 등에게는 민감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 올해 수산업계는 미세먼지 주범으로 몰린 고등어와 콜레라로 홍역을 치렀다. 잘못 여론이 형성된 결과다. 정부가 수산물 안전에 대한 불신을 쌓이게 해서는 안될 일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