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값이 연일 하락세를 보이면서 2001년 쇠고기시장 완전 개방을 목전에둔 한우농가들의 불안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런 추세대로 간다면 생계유지 조차 어려워 생업을 포기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목소리마저 높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5백kg 짜리 한우수소 한 마리에 3백10만원선에 이르던 소값이 지난 23일 2백48만4천원으로, 3개월도 채 안돼무려 60만원 이상(19.8%) 폭락했다는 사실이 농가들로선 믿기지 않는 현실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한우산업의 위기를 직시하고 소값과 사육기반을 안정시키기 위한 대책을 세워 추진하고 있기는 하다. 사육기반 안정을 위해 송아지생산안정제를 전국으로 확대 실시하고 다산장려금제를 도입하여 번식농가들의 사육의욕을 북돋우는데 애를 쓰고 있는 것 등이 그것이다. 특히 소값안정을 위해서도 수급용 수입쇠고기의 방출량과 도매시장 상장물량에 대한 최저 경매예가를 5% 인상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으며업계에선 산지 소값과 연동하여 한우고기 소비자가격을 낮추기 위한 결의대회와 가격인하가 줄을 잇고 있다. 하지만 소값이 연일 떨어지고 있어 한우농가들의 불만의 소리가 높다. 정부가 5백kg 수소 한 마리에 2백60만원 할 때 소값안정대책을 발표했지만이와 상관없이 2백40만원대까지 계속 내리막길을 달리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최근의 소값폭락 사태는 사전에 철저한 대책을 세우지 못한 탓으로, 예견된 일이라고 한우업계 종사자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소값이 폭락할 때에만 단발성 대책을 세우고, 그나마 실효를 거둘 수 있는 확실한 대책이 마련되지 못한 것이 현 사태를 몰고 온 주 요인이라는 지적이다. 쇠고기시장 완전 개방이 불과 9개월 밖에 남지 않았다. 이제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확실한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한우는 동물원에서나 볼 수 있는 위기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는 절박함도 모두 인식해야할 것이다. 정부와 농가, 관련업계 모두가 자신들의 입장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길 밖에는 대안이 없다. 정부에선 임시방편적인 소값대책을 세우기 보다 근본적이고 실현가능한 대책을 추진해야 할 때이다. 정확한 한우통계의 분석을 토대로 그에 맞는 수급 및 가격안정대책을 세우는 동시에 농가들의 어려운 현실을 바로 보고 사육불안심리를 잠재울 수 있는 축정을 펴야할 것이다. 특히 값싼 수입쇠고기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유통구조를 개선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생산비를 낮출 수 있는 대책, 품질차별화대책, 한우고기의 소비촉진강화대책 등 종합적인 대책이 현실에 맞게 추진돼야 한다는 것을 거듭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