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수급 문제와 연결돼 소비 촉진 방안의 대안으로 주목되는 쌀 가공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선 소비 확대라는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등을 담은 정부 차원의 중장기 종합 대책이 수립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모아지고 있다.

쌀 소비촉진을 위한 가공산업 활성화 방안 토론회
과거 생산위주→소비 중심으로 정책 전환 목소리도 


11월 30일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선 윤영일 국민의당(전남 해남·완도·진도) 의원이 주최하고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한국쌀가공식품협회, 한국농어민신문이 주관한 ‘쌀 소비촉진을 위한 가공산업 활성화방안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고질적인 쌀 수급 대책의 해법으로 꼽히는 소비 확대 방안으로 실현 가능성이 큰 쌀 가공산업의 활성화 방안 마련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국회의원 및 정부, 관련업계, 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각계 전문가들은 정부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과 더불어 쌀 가공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차원의 종합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참석자들은 쌀 가공산업 발전 5개년 기본계획이 마련된 2011년 이후 쌀 소비 트렌드가 식량 차원에서의 쌀에서 식품(원료)으로서의 쌀이라는 측면으로 옮겨가고 있고, 쌀 수급 상황도 고질적인 재고 과잉 사태가 되풀이되는 등 최근 여건들을 반영한 종합 대책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장인석 농식품가치연구소장은 “쌀 가공산업은 태생적으로 원료 공급이 정부 의존적이고 영세 업체들이 많아 취약한 생산 기반을 갖고 있는데, 2011년 이후 산업 성장세도 감소하고 있다”며 “식량 차원에서 처분 중심의 공급이 아니라 가공 산업에서 소비하는 원료 중심의 정책으로 바꿀 필요가 있고 소비 환경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도 반영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장 소장은 이어 “제2의 쌀 가공산업 도약을 위해선 쌀 가공산업의 자체적인 분명한 목표치 등이 담긴 중장기 차원의 종합 대책이 마련되는 것이 급선무”라고 촉구했다.

김남두 한국쌀가공식품협회장은 “이제는 쌀 산업의 본질적 문제 해결을 위해 쌀 관련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며 “과거 생산 위주의 정책에서 소비 위주의 정책으로 바꿔야 하고, 쌀 가공식품산업의 활성화가 이런 소비 정책의 중심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토론회에선 원료의 공급 및 품질 안정성 확보를 주문하는 목소리에서부터 제품 및 기술 등 새로운 수요 창출을 위한 R&D 분야의 투자 확대 부분도 수차례 언급됐다. 국산 쌀을 사용하는 가공업체들에 대한 행정적 인센티브 방안도 쌀 소비 확대를 견인할 수 있을 것이란 의견도 나왔다.

보다 세밀한 요구들도 많았다. 특히 의제매입세액 상향조정 요구가 눈에 띄었다. 청중질의에 참여한 쌀 가공업체 관계자는 “쌀 가공식품업체 대다수가 음식점업과 비슷한 영세기업 또는 개인사업자인 만큼 의제매입세액 공제율을 음식점업과 동일하게 108분의 8로 상향 조정해 달라”며 “이런 부분이 가능해지면 고품질 식품개발에 필요한 연구비 및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시설 관리 비용 등에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성진 기자 kosj@agrinet.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