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  소포장+고품질로 승부
화훼  ‘꽃 생활화’가 모범답안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일명 ‘김영란법’이 9월 28일부로 본격 시행됐다. 김영란법 시행으로 인해 농산물 시장, 특히 선물용으로 많이 소비되는 과일과 화훼 분야에서의 타격이 우려되는 가운데 김영란법에 대응해 산지에서의 맞춤식 출하 전략도 요구되고 있다. 전략의 주요 화두는 이제 ‘양보다는 질’로 승부해야 한다는 주문이었다. 여기에 특정일의 선물 소비를 넘어 ‘일반 소비’가 늘어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오고 있다.

회전율 감소·가격상승 제한
포장비용 절감대책 마련을


▲과일 분야=일부에서는 5만원이라는 가격제한으로 인해 한우나 굴비 등의 상품 및 전자제품 등 공산품 소비가 감소하는 반등 효과로 과일은 김영란법 여파에서 일정 부분 비켜설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한다. 더 나아가 오히려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는 이들도 있다. 그러나 과일업계에선 전혀 그렇지 않다고 밝히고 있다. 회전율이 상당히 감소할 것으로 여겨지는데다 가격 상승에도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가락시장의 이영신 중앙청과 전무는 “기존에 사과 한 짝, 배 한 짝 선물하는 이들이 김영란법 이후 사과 한 짝 또는 배 한 짝만 선물하거나 아예 선물을 하지 않을 수 있어 과일 소비 회전율이 상당히 떨어져 김영란법 후폭풍이 과일 시장에도 상당할 것”이라며 “무엇보다 과일 가격이 오르지 못할 우려가 크다”고 전했다.

이런 과일 시장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건 소포장과 고품질의 결합이다. 이영신 전무는 “기존에 사과 10kg 500짝을 출하했다면 이제 5kg 1000짝을 출하한다는 개념을 가져야 한다”며 “여기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고품질이다. 고품질에 소포장이 결합해야만 선물 수요는 물론 일반 소비도 늘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그럼에도 아직 산지에서 소포장할 수 있는 여력이 부족하기에 정부의 과일 소비 정책은 이 방향에 맞춰 추진돼야 한다”고 전했다.

어느 정도 줄어들긴 했지만 아직도 공공연히 자행되고 있는 과대포장에 대한 근절 목소리도 들린다. 고영직 농협 청과사업단 과일팀장은 “과일값을 낮출 수는 없다. 결론은 포장에 들어가는 비용을 낮춰야 한다는 것”이라며 “이 기회에 과일시장에서의 과대포장이 완전히 근절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명 오래가는 꽃 출하 주력
일상서 자주 찾게 방안 모색


▲화훼 분야=위축되는 화훼산업에 대응하기 위해 항상 일순위로 강조되는 것이 ‘꽃 생활화’다. 김영란법에 대한 대응 역시 모범답안은 ‘꽃의 생활화’에 있다. 중요한 것은 이 생활화의 구체적인 행동을 이제는 정말 해야 할 때라는 것이다.

문상섭 한국화원협회장은 “꽃의 생활화를 계속해서 말하지만 잘 안 되고 있다. 이를 분석해 각 유통단계별로 왜 되지 않고 있는지 제대로 인지하고 대응해야 한다”며 “산지에선 무엇보다 소비자들이 꽃을 사 오래도록 보관할 수 있도록 수명이 오래가는 꽃을 출하하는데 중점을 둬야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박리다매보다는 소량이지만 고품위로 가는 게 김영란법이 시행되는 현 시점에 화훼산업에 요구되는 대목”이라고 밝혔다.

권영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화훼공판장 부장은 “김영란법으로 인해 화훼업계의 어려움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가만히 있기 보다는 이럴 때일수록 더욱더 외국 품종과 경쟁해도 살아날 수 있는 품종을 만들어야 한다”며 “특히 소비자들이 일상에서 자주 찾을 수 있는 소비 트렌드에 맞춰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권 부장은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와 관련 “소형화분, 결혼 웨딩 꽃으로 각광받는 수국 재배, 소형보다 대형화된 이를테면 장미류 중에서는 대륜 재배” 등을 들며 “유통 과정에서도 신선농산물처럼 정가·수의매매, 직거래, 로컬푸드 등 소비를 분산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욱 기자 kim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