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체중·육량 등 고려 정밀한 수급대책 마련 목소리

한우고기의 정확한 수급량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한우 사육두수와 함께 한우고기 육량을 중심으로 수급 통계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육우 수급조절협의회는 지난 6일 서울 서초동 제2축산회관 회의실에서 박종수 한·육우 수급조절협의회장, 김홍길 전국한우협회장을 비롯한 수급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2016년 제3차 한·육우 수급조절협의회’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정확한 수급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한우고기 소비 수요를 예측한 후 공급을 어떻게 할 것인지 보다 세밀한 정보가 필요하다며 도체중·육량 등을 고려한 수급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최창본 영남대 교수는 “수입육의 경우 톤 단위로 공급량이 발표되는데 한우는 사육두수, 도축두수 등의 통계만으로 수급을 논의하고 있다”며 “한우 도체중이 최근 5년 사이 큰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도체중 등을 고려해 한우 수급을 조금 더 정밀하게 접근할 수 있는 통계자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실질적인 소비량 대비 한우 고기 양이 얼마나 부족하고, 현재 출하되는 한우를 도축했을 경우 어느 정도 한우고기가 공급될 수 있는지 통계자료가 생산돼야 한다는 것. 한우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고기의 양이 과거에 비해 많이 늘었기 때문에 한우고기 10톤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한우 사육 두수도 줄어들게 되는데, 그만큼 사육두수만으로는 정확하게 수급상황을 파악할 수 없다는 이야기다.

이와 함께 사육두수 확대에만 집중하기 보다는 육량을 늘리는데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김관태 축산물품질평가원 R&BD본부 본부장은 “미국도 가뭄 때문에 소 사육 두수가 줄었으나 소비량은 줄지 않았는데, 이는 도체중이 늘었기 때문”이라며 “우리나라도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높일 수 있도록 육량을 늘리는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본부장은 이어 “축평원에서는 정육량과 정육율을 동시에 평가해서 선별화 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박종수 수급조절협의회장도 “육량을 중심으로 수급 논의를 하면 실제 필요한 사육두수가 줄어들 수도 있다”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 연구기관에서 과제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김영란 법 시행 이후 수요 감소를 고려한 가임암소 목표두수 설정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으나 추석 이후 김영란 법으로 인한 수요 변화 등을 검토한 다음 차기 수급회의에서 보다 접근된 이야기를 나누기로 했다.

또한 이번 회의를 통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됐던 수출용 한우고기 품질기준, 수출물류비 지원 기준 등은 한우수출분과위원회 운영규정(안) 자체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돼 이 역시 미흡한 부분을 보완한 후 다음 회의에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우정수 기자 woojs@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