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호구역·보존가치 높은 지역 방제 집중 목소리도

김태흠 새누리당(충남 보령·서천) 의원이 지난 8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을 주제로 개최한 토론회의 핵심은 ‘꺼진 불도 다시보자’와 ‘선택과 집중’이었다. 전자는 재선충병 방제가 끝난 지역도 수년간 꾸준히 관리를 해야 한다는 얘기이고, 후자는 반드시 지켜야 할 소나무는 수간주사 등을 통해 보호해야 한다는 생각인 것이다.

2013년에 발생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고사목은 218만본(2013년 5월~2014년 4월, 매개충 우화기 기준). 사상 최대치다. 전국이 소나무재선충병으로 몸살을 앓게 된 시발점이다. 2013년에 재선충병 피해가 급증하게 된 원인에 대해서 임상섭 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과장은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현황 및 방제정책 방향’이란 제목의 발제에서 “자연적 원인과 인위적 원인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자연적 원인으로는 2013년 여름철 평균기온이 1973년 이후 가장 높았고, 평년에 비해 강수량과 강수일수가 적었으며, 일조량도 많았다”며 “이 때문에 매개충의 활동기간이 길어지고, 개체수도 늘면서 재선충병이 확산됐다”고 밝혔다.

임 과장은 “2005년에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이 제정된 이후 집중적인 방제로 소나무재선충병 발생률이 낮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정책적 관심도도 낮아지고, 이로 인해 방제예산과 인력 모두 감소됐다”면서 “일부 지자체에서는 매개충 우화기 이전까지 피해목을 전량 방제하지 못하고 방치하는 등 방제 매뉴얼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인위적 원인’을 설명했다.

올해 산림청은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국비 764억원을 조기 배정, 1일 4000명 규모의 방제인력을 동원하고, 일일 평균 1만본 이상을 방제하고 있다. 특히 피해가 심한 울산·경북·경남·제주에는 방제예산과 인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처럼 산림청은 2017년까지 재선충병 피해규모를 관리가능한 수준으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실행에 옮기기 위한 움직임에 있는데, 이날 토론회에서는 재선충병 방제사업의 효과를 더욱 높이려면, 재선충병 방제지역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많았다.

김길하 충북대 교수는 종합토론에서 “첫 해에 방제를 해서 소나무재선충병이 없어졌다고 관리를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며 “97%를 방제해도, 나머지 3% 때문에 확산되는 게 재선충병인 만큼 비슷한 예산으로 4~5년은 충분히 관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규원 산림기술연구소장도 “최소한 3년 정도는 예방주사 등 사후관리를 하는 노력이 있어야 최종적으로 방제성과가 나타나는 것”이라며 “지켜봐야 하고, 조급해야 하면 안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 소장은 “점점 방제가 성공하면 관련 예산도 줄어드는데, 역효과가 날 수 있는 만큼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사업에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완전방제를 하면서도 문화재보호구역이나 보존가치가 높은 나무에 대해서는 집중방제를 해야 한다는 해석이다. 나고야대학의 다나까 게이지 객원교수가 ‘수간주사 주입’을 설명한 것도 이 때문이다.

두 번째 발제인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일본사례’에서 다나까 교수는 “수간주사는 수간(樹幹), 나무줄기에 약제를 직접 투입하는 방제방법으로 재선충병 예방사업 중 하나”라면서 “절이나 공원 등 반드시 지켜야 할 소나무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나까 교수는 일본의 유명관광지인 교토의 킨카쿠지와 니죠성, 나라의 호류지 등을 수간주사의 성공사례로 들었다.

조영규 기자 choyk@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