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새 정부의 초대 농림부장관으로 부임한 김성훈 장관이 현장농정 챙기기에 적극 나서 주목을 끌고 있다. 현장중심의 농정, 열린농정을 펼칠 것이라고 강조한 김 장관은 지난 4일 농림부내 모든 일정을 접어둔 채 취임후 첫업무로 농민단체 및 소비자단체대표와 간담회를 갖고 농업인, 소비자, 정부가 협력하는 농·소·정 협력체계를 구축할 것임을 밝혔다.김 장관은 또 지난 8일 일요일에도 경기도 안성지역 축산현장을 방문, IMF한파로 실의에 빠진 양축농민들과 간담회를 갖고 농가들의 자구노력과 지방자치단체의 참여폭을 넓히는 등 확실한 역할 분담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김 장관은 특히 기존의 정부관료가 모든 정책건의사항에 대해 적극 검토해보겠다고 일률적인 답변을 구사해 왔던 것과 달리 각자가 해야될 일을 명확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역할분담론을 제기해 눈길을 끌었다.김 장관의 이같은 농정챙기기를 통한 각자의 역할론 강조는 IMF 체제를 극복하고 우리 농업, 농촌을 실질적으로 한단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는 대안으로 볼 수 있다. 현재 위기에 처해 있는 농업문제를 정부 혼자의힘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만큼 모든 농업관련인들이 문제를 정확히 인식하고 함께 중지를 모아 풀어나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사실 김 장관은 지난 93년 UR협상 당시 소비자, 시민단체, 농민단체와 함께 우리 쌀 지키기 범국민운동을 전개했던 것이 현재 적정수준의 쌀자급을 유지할 수 있는 밑거름이됐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김 장관의 농정추진에 역할 분담론이 가시적으로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는 것을 지적코자 한다.먼저 과거의 타성에 젖어 있는 농정관료들의 의식이 하루빨리 개혁돼야 한다는 점이다. 현재 농림부관료들은 아직 김 장관의 농정관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김 장관의 농정관을 하루빨리 정확히이해하고 업무를 추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그러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앞으로 단행할 농림부인사라 할 수 있다.학연·지연을 떠나 적재적소에 인재를 배치한다는 원칙을 갖고 능력위주의인사를 단행, 농정관료들이 안정을 찾고 열린농정을 펼칠 수 있는 계기를마련해야 하는 것이다.또한 우리가 지적코자 하는 것은 농민단체와 소비자단체들도 사심없이 농정의 파트너로 참여해야 한다는 점이다. 김 장관은 그동안 농업계 뿐만 아니라 소비자단체들과 함께 농업살리기운동을 펼치는 등 그들과 친분이 두터운 인물이다. 이들이 이를 빌미로 김 장관에게 너무 무리한 요구를 하고 부담을 주게 되면 농정의 역할분담론은 그때부터 깨질 수도 있다. 위기에 처해 있는 농업, 농촌을 함께 구한다는 생각을 갖고 김 장관의 농정추진에 사심없이 참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이다.발행일 : 98년 3월 12일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