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최근 축산관련단체를 비롯한 시민단체들이 남은 음식물 사료화를 위한캠페인운동을 전개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축산생산자단체와 정부연구소가 공동으로 민간 차원의 남은 음식물 사료화연구회를 결성하여 우수농가발굴조사, 연찬회 등을 추진하고 있는가 하면 경실련, 소비자단체 등 시민단체들은 국민을 대상으로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우리는 이런 일련의 행사가 성과를 거두길 기대하면서도 남은 음식물 사료화사업이 조기 정착되기 위해서는 풀어야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남은 음식물 사료화는 지난해 말부터 환율폭등에 따른 사료곡물가격 상승으로 축산농가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나온 것이다.물론 환경부는 축산농가에서 남은 음식물 습식발효사료에 밀기울, 옥수수등 사료원료 10%를 혼합하여 사육하는 경우 비육돈 1두당 7만원의 사료비가절감돼 축산업계의 경영난 해소가 될 수 있다고 홍보한다. 그러나 이것은단순 분석에 불과하다. 일선 축산농가들이 남은 음식물을 사료화하기 위해서는 시설자금을 투자하는 등 제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돼 적잖은 부담을안게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남은 음식물을 사료화하더라도 경제성이없다. 이 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하지 않고 정책자금만 지원한다면 국고 낭비만 초래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현재 관련업체들의 난립도 또한 문제이다. 기계제작업체별로 합리적인 제조공법이 미확립된 상태에서 농가에 보급될 경우 큰 피해가 우려되는 것이다. 영세업체 난립으로 농가들이 기종선택에서 혼란만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농가에 보급되는 제품의 품질 및 경제성을 정확히 진단하고 이에대한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남은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사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료의 균질성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관련기술의 뒷받침도 중요하다. 배출처별로, 계절별로 원료성상이 다양하고 미생물, 염분 등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인데다 축종별로 영양표준화 사양관리기준이 미설정된 상태에서 남은 음식물을 사료화하면 축산농가는 물론 소비자에게 까지 피해를 줄수 있다.따라서 축산기술연구소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연구사업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철저한 현장중심의 조사를 통해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이와 함께 남은 음식물 사료화사업이 하루빨리 정착되기 위해서는 농림부,환경부, 자치단체의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중앙부처가 아무리 좋은 정책을 수립한다 하더라도 자치단체가 분리수거 및 원료의 안정적 공급에 적극성을 보이지 않으면 사료화가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결국 이러한 문제들이 먼저 해결되지 않으면 범국민적인 차원에서 남은 음식물 사료화 캠페인을 전개하고 정부가 많은 자금을 지원해 준다 한들 좋은결과를 가져올 수 없다.발행일 : 98년 4월 2일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