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8일 ‘환경과 농업 위기대응 양봉전문가 육성제도 신성을 위한 전문가 좌담회’를 개최하고, 국내 양봉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했다.

국내 양봉산업을 지속가능하게 유지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선 양봉 종사자에 대해 전문인력자격증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양봉전문가 제도 신설 좌담회
양봉 실력·자격 객관적 입증
'양봉인 기능사' 신설 제안


지난 18일 국회도서관 대회의실에서는 김현권 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의원 주최로 ‘환경과 농업 위기대응 양봉전문가 육성제도 신설을 위한 전문가 좌담회’가 개최됐다. 좌담회는 농업·농촌에서 생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양봉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좌담회에서 이순주 자연환경국민신탁 단장은 ‘환경, 농업의 화분매개 기능보전 전문가양성제도화 제안’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국내와 해외의 양봉산업 정책을 비교하고, 국내 양봉산업에 국가기술자격검정제도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순주 단장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 유럽에서는 꿀벌의 생물다양성을 지켜주는 화분매개 기능에 주목해 적정개체수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막대한 투자와 정치인의 선도적인 대중 캠페인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또 가까운 일본에서도 꿀벌에 대한 보호가 지역 활성화 차원으로까지 격상해 양봉산업진흥법 안에서 체계적인 육성을 지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국내에는 꿀벌을 보호하는 정책이 없고, 벌꿀 등의 양봉생산물 생산 위주 정책이 펼쳐지고 있다. 이와 함께 꿀벌을 사육, 증식, 질병을 통제하는 과정에 있어 고도의 전문지식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국내에는 양봉실력과 자격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이에 이순주 단장이 국가기술자격검정제도를 활용한 ‘양봉인 기능사’가 신설돼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한 것이다. 농식품부나 농촌진흥청장이 직권으로 양봉 기능사를 신설하면, 이미 활성화된 국가기술자격검정제도 안에서 교육을 통해 실무능력을 관리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더 나아가 양봉 기능사 제도가 신설되면 해당 지역에 병해충 발생 시 초동대처나 민원처리, 밀원생태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도록 해 양봉산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이순주 단장은 “양봉 기능사가 단순히 신설로만 끝나는 게 아닌,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려면 교육총괄기관은 농촌진흥청이, 교육운영기관은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가 맡는 게 이상적”이라며 “정부가 예산 투입 없고 가장 손쉽게 양봉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전문인력자격증제도를 빠른 시일 내에 도입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안형준 기자 ahnh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