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돼지콜레라 박멸에 대한 농가, 공동방역사업단,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열기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는 비록 늦은 감이 있다 하더라도 국내 양돈산업발전을 위해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돼지고기 주 수입국인 일본정부가 2001년부터 돼지 콜레라가 발생하는 나라로부터 돼지고기 수입을 중단할 계획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 직원 1백80명을 동원, 시·군별 책임제를 가동해백신 1백% 접종을 독려하는 것이라든지, 정부의 지원정책이 공동방역사업단 위주로 전환된 것은 돼지콜레라 박멸을 위한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 제주도가 돼지콜레라 박멸을 적극 독려하는 도지사의 독려편지와 함께경북도의 4단계 박멸계획에 의거한 백신 1백% 접종, 그리고 경남도의 접종사업 강화와 소독강화, 특히 도드람 중부양돈축협을 중심으로 경기 동남부돼지콜레라 박멸사업단이 운영되고 있는 것도 역시 환영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앞으로 이런 활동이 좋은 성과를 거두기 위해선 풀어야 할 과제가산적해 있다는 점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우선 방역의 주체인 농가들의 적극적인 의지가 뒤따라야 한다. 아무리 중앙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공동방역사업단이 박멸을 위해 나선다고 해도 농가의 적극적인 호응이 따르지 않을 경우 박멸은 불가능해 진다. 농가 스스로 무분별한 돼지구입을 근절하고 철저한 예방접종을 실시해야 하는 것이다. 일부 지자체를 제외한 다른 자치단체장들이 돼지콜레라 박멸에 소극적인자세를 보이고 있는 것도 안타까운 일이다. 업무 효율성을 들어 가축방역의최일선 기관인 가축위생시험소마저 통폐합하는 것은 과연 돼지콜레라를 박멸하려는 의지가 있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마저 들 정도다. 중앙정부 역시 돼지콜레라 박멸을 위한 예산과 제도 등을 완벽하게 갖추어야 한다. 특히 시·군별 출장지도를 위한 여비 부분을 걱정해야 할 정도의 예산 책정이라면 돼지콜레라 박멸이 구호에 그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아울러 지역 공수의와 공동방역사업단 역시 지역 양돈산업을 살린다는 강한 의지로 돼지콜레라 박멸에 적극적인 자세를 갖고 농장지도에 나서야 할것이다. 어떻든 금후 2년 동안 돼지콜레라를 근절하지 못하면 앞으로 돼지고기 수출로 외화획득이 불가능하고 2조원을 넘게 투자한 수출양돈기반 구축 정책이 내수용 돼지고기의 과잉생산을 초래, 양돈산업에 큰 타격을 입힌다는점을 명심해야 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