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농촌·식품산업의 미래 비전을 위해서는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농업·농촌의 새로운 주체로 부각되는 귀농·귀촌 인력을 양성하는 한편 농촌의 다양한 일자리 창출이 중요한 것으로 강조됐다.

수입산 차별화된 친환경농산물 확대·계약재배 활성화
귀농귀촌 인력 양성, 농촌의 다양한 일자리 창출해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용선 선임연구위원 등의 ‘농업·농촌·식품산업의 미래비전과 지역발전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국내 농업·농촌·식품산업은 개방화가 가속화되면서 수입증가와 농가교역 조건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로 자급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국내 소비도 정체 내지 감소 추세인 가운데 수입 농축산물의 국내시장 잠식이란 이중고 상황이 더욱 심화되고, 농가인구 감소 및 고령화 추세가 지속될 것이란 우려가 높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로 농산물 수급이 불안정해지고 주산지 재편 등의 우려가 예상되는 가운데 신재생에너지와 대체에너지 등이 부상하고, 자연 순환기능을 비롯한 환경보전·지역자원관리 역할 등이 중요시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삶의 질을 추구하는 경향이 늘어나면서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과 휴양, 관광 등에 대한 수요확대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관련 전문가와 농업인들은 농·식품 분야에서 안전한 먹거리의 안정적 공급시스템 구축을 농업·농촌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보고 있다. 정부도 안전한 먹거리의 안정적 공급시스템 구축을 최우선 순위로 둬야 한다는 것이다.

농업 선도 주체 및 인력양성, 안전한 농축산물 관리체계 구축, 농촌 일자리 창출 전략의 경우 계층분석법(AHP) 종합평가 및 시급성 측면에서 상위 3위 범위에 포함돼 중장기적 중요도뿐만 아니라 단기적 시급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또한 농업·농촌의 인구 및 인력감소에 대한 우려가 크다. 따라서 농업을 주도적으로 리드할 주체인 농업 선도 주체와 인력 양성 전략에 우선순위를 두고 중장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역별 농업·농촌·식품산업 발전방향에서 충남의 경우 먹거리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순환 농·식품체계를 구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정책과 사업, 주체 부문과 영역 등을 하나로 연결해주는 기능 및 이를 독립적인 위원회로서 거버넌스에서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남은 경제적·환경적·안전한 농·식품을 주도하고, 고소득 지속가능한 농업을 구현하는데 있다. 농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생산비 절감, 농업경영체의 규모화·조직화, 고소득 품목 발굴 및 육성, 수출전진기지 육성 등의 농업구조 전환이 필요하고, 중장기적으로 자연친화적이며 생태학적 여건에서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런 여건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농·식품산업과 살고 싶은 농촌’을 위해서는 식량의 안정적 공급과 식품안전성 확보가 우선됐다. 이는 생산비 절감기술 매뉴얼 공급 및 우량종자 보급, 이상기후 및 재난 시 대응 매뉴얼 제공을 비롯해 재해 등으로부터 안정적 농업을 보장하는 농업재해보험과 농업노동재해보험의 다양화 및 보편화가 포함된다.

다음은 농업 선도 주체 및 인력 양성이다. 연령구조를 젊은층 위주로 개선하고 중소농을 조직화해 시장교섭력을 높이는 한편 농업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이다. 아울러 귀농·귀촌 인력을 적극 활용하면서 생산·가공 전문기술과 경영 교육을 강화하고, 전문 인력확보 및 컨설팅에 의한 경영능력 배양, 경영주체 간 상호협력으로 사업성과를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농촌 일자리 창출전략도 중요하다.

이용선 선임연구위원은 “국내외에서 소비자 신뢰기반의 사이버거래에 대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제시되는데 향후 대안 유통으로 부상이 예상된다”며 “관련전문가 구축이 시급하고, 빅데이터를 해석 및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등을 새로운 정보화 사업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문광운 기자 moon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