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정책 10년, 이제는 자녀교육에 달렸다

1990년대 초부터 시작된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운동’으로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2000년대 들어 상당수 외국여성들이 한국에서 가정을 꾸렸고, 이들의 거주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학령기(7~18세) 다문화자녀가 급증하고 있다.

학업성취도 등 차이 없는 데도
막연하게 ‘낮을 것’ 섣부른 결론 
제대로 교육 받을 수 있게 해야


2015년 행정자치부에서 실시한 외국인주민현황조사에 따르면 다문화자녀(만 18세 이하)는 2006년 2만5000여명에서 2015년 20만8000여명으로 8배 넘게 증가했고, 특히 초등학생 중 다문화학생 비중은 처음으로 2%를 넘어섰다.

하지만 다문화자녀를 바라보는 사회적 편견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국내성장자녀’와 ‘중도입국자녀’를 구분하지 않고, 마치 대부분의 다문화자녀들이 학업성취도가 낮고 학업중단율이 높은 것처럼 치부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김이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다문화자녀는 전반적으로 학업이 뒤처질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매우 위험한 발상”이라며 “국내성장자녀는 사실상 학업성취도 등에서 차이가 없고, 일부에서 제기하는 학습부진 문제는 오히려 경제적인 요인에서 기인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엄마가 한국인이 아니거나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왕따’를 당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고, 자녀교육은 ‘엄마 몫’이라는 한국 특유의 가정문화는 다문화자녀들의 진로·진학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교육정책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마침 올해는 정부가 다문화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지 딱 10년이 되는 해다. 본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취재지원(2016년 소외계층매체 지원사업 선정)을 통해 그간의 다문화가정 실태 및 정책 변화를 점검하고, 다문화자녀의 건강한 성장지원을 위한 대안은 무엇인지 국내외 사례와 정책토론회 등 총 6회에 걸쳐 짚어본다.

이기노 기자 leekn@agrinet.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