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직장생활을 하다 이제 귀농한지 10개월 됐는데, 아이의 학교가 분교로 된다는 말을 듣고 다시 서울로 돌아갈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자연과 친숙하게 지내는 모습을 보면서 귀농하길 잘했다고 생각했는데, 가슴이 찢어지는 듯 합니다.” 지난달 30일 서울YMCA 대강당에서 열린 농어촌 소규모학교 통폐합 저지 비상대책위원회 2차 회의에 참가한 경기도 남양주시 가양초등학교의 학부모 이상진씨가 한 말은 정부가 추진하는 농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이 농업정책과 얼마나 상반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정부의 정책이 서로 연관성 없이 추진돼 농어민의 이농을 부채질하고, 결국 농어촌의 노령화, 공동화 현상을 가속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도 정부는 중장기적인 대책을 제시하기 보다 ‘반발’을수습하는데 더 급급하다. 교육부가 지난달 24일 공문을 통해 전달한 “반발이 심한 지역은 통폐합을 유보 또는 철회하라”는 지침은 문제가 있어도 주민들의 반발이 없다면 그대로 추진하라는 의미 이상은 아니라는 느낌이다. 지역주민들은 “통폐합이 유보된 학교는 행·재정적 지원이 끊겨 교육환경이 더욱 열악해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지역주민들은 농어촌에서의 안정적 생활을 위해 통폐합 정책 유보가 아닌, 철회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입력일자:99년7월5일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