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농림축산식품부 농촌복지여성과에 부임한 강혜영(39) 과장에 대한 여성농업계의 관심이 뜨겁다. 그도 그럴 것이 올해는 ‘제4차 여성농업인육성 기본계획’이 첫발을 내딛는 매우 중요한 시기로, 주무부서인 농촌복지여성과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막중하기 때문이다. 지난 3일 만난 강 과장은 업무파악에 여념이 없다면서도, 공동경영주 등록 활성화와 여성농업인 교육관리 등 주요정책 사업에 대한 소신발언을 거침없이 이어갔다. 

여성농업인교육 통합·관리…공동경영주·농협 임원 활동 확대
제4차 여성농업인 기본계획 등 성과 낼 수 있도록 소통 강화
중단된 농촌고령자 공동이용시설 지원사업 지속가능성 모색


▲업무파악은 어느 정도 됐나.
=농촌복지여성과에 부임한지 한 달쯤 지났다. 주로 여성가족부와 보건복지부 등 타부처와 협조해야 하는 업무의 성격상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은 것 같다. 타부처와 공조를 하다보면 이해관계자들이 많고, 밖에서 보기엔 문제해결이 더디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부분은 이해를 해주시리라 믿는다. 이미 ‘제4차 여성농업인육성 기본계획’이 나왔고, 공동경영주 인정 등 전임 윤광일 과장님이 제도적 틀을 잘 갖춰놓았다. 이런 정책과 제도들이 잘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일이 남았다고 생각하고, 목표지점에 빨리 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책은 무엇인지 궁금하다.
=공동경영주 인정 등 직업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부분을 가장 크게 보고 있다. 예전에는 여성정책이 성차별 극복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제는 여성성에 대한 존중과 개발 등 고차원적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여성농업인들이 자부심을 갖고 경영주나 지역농협의 임원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가사와 보육 등을 도와주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정원)에서 여성농업인교육을 통합·관리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지난해부터 지역농협 임원할당제가 시행되고 있고, 공동경영주 인정도 올해부터 가능해졌지만 정작 여성농업인들의 참여도는 떨어진다. 교육이 필요한 이유다.

▲여성농업인센터, 바우처, 공동급식 등을 지원해달라는 요구가 높은데.
여성농업인센터 사업은 이미 지방이양이 됐는데, 관리권한이 없는 중앙정부에서 재원을 지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바우처와 공동급식 사업도 마찬가지다. 이들 사업은 지역경제 및 로컬푸드 활성화 등을 위해 지자체가 해야 하는 사업들이다. 다만 지역개발 등 다른 정부사업과 연계를 하면 간접적인 지원도 가능하기 때문에 그런 부분들을 고민해나갈 계획이다.

▲농촌복지도 중요한 임무로 알고 있다.
=농촌복지는 결국 접근성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지역에는 다양한 계층이 있고, 이들의 요구는 매우 다양하다. 도시는 민간에서 시장이 형성돼 복지사업들이 돌아가지만, 농촌은 그게 어렵기 때문에 정부의 손길이 필요하다. 재원의 한계로 획기적인 사업들은 어렵지만 정부가 행복버스나 원격진료 등을 추진하는 것도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특히 공동생활홈 등 ‘농촌고령자 공동이용시설’ 지원사업이 중단됐는데, 지속가능한 사업이 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현재 평가 작업이 진행 중으로, 타 부처의 유사사업과 중복되지 않는 정체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공동생활홈의 경우 어르신들이 잠을 함께 주무시도록 할 건지, 아니면 생활만 같이 하도록 할 건지 정체성을 분명히 해야 할 것 같다.

▲포부가 있다면.
=여성농업인 권익이나 농촌복지 등 불합리한 제도들이 개선되면서 전체적으로 나아지는 과정 속에 있다고 생각한다. 제4차 여성농업인 기본계획 등 정부 정책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일조를 하고 싶고, 그러기 위해선 여성농업인들의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앞으로 여성농업인단체와 소통을 강화해 함께 호흡해 나가겠다.

이기노 기자 leekn@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