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양 오색한과는 건강한 맛이라는 이미지를 부각시켜 중국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또한 쌀과 찹쌀 등 국내산 재료를 활용해 품질과 안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고 있다.

꾸준한 수출 흐름을 보여 온 대표적인 전통식품 가운데 하나가 전통한과다. 최근 간편·건강식 바람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우리 한과의 수출 지형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미국·일본’과 ‘현지 교민’이라는 전통적인 수출 방정식에서 벗어나 현지인의 입맛을 공략하려는 한과업계의 손길이 빨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강원도 양양군 서면에 위치한 한과업체 ‘양양 오색한과’도 이런 흐름에 ‘응답’하고 있다.

‘건강한 맛’ 이미지 부각…바이어 호응
약과 현지 반응 좋아 주력 수출품 기대
국산 원료로 품질 자부, 안전성도 으뜸 


올해로 설립 20년을 맞은 양양 오색한과가 최근 눈여겨보고 있는 수출 시장은 중국이다. 수출 제품은 ‘견과류 약과’. 기존 약과 제품이 갖는 ‘건강한 과자’라는 이미지에 땅콩과 아몬드 등의 견과류를 가미해 씹는 식감을 강화해 현지 수요를 겨냥했다. 이와 동시에 ‘더 건강한’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이 제품은 중국 현지 식품박람회 등에서 현지 바이어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은 데 이어 수출 협의를 이어오며 중국 진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현재 통관 및 라벨링 작업 단계 중이다.

무엇보다 약과 제품이 중국인 입맛에 거부감이 적다는 점이 향후 한과업계의 수출 전략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과나 유과 제품의 경우 유럽 등에선 한입에 먹기 어렵고 바싹거리는 식감도 적은 데다 입에 달라붙는다는 평가가 많은 반면 약과는 이런 약점들이 적거나 보완이 가능하다는 반응이다. 이 때문에 한과업체의 주력 수출 제품 중 하나로 주목하고 있다는 것이 오색한과 측의 설명이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도 약과가 충분한 현지 경쟁력이 있다고 보고 있어 한과업체의 중국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해봄직하다는 얘기다.

이인용 양양 오색한과 과장은 “중국 전통과자 중 설탕과 꿀, 밀가루를 반죽해 사람의 귀 모양으로 만든 ‘탕얼두어(糖耳朶)’와 우리 약과가 식감이나 맛이 비슷하다는 현지 의견이 많아 수출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약과라는 이름 자체도 ‘약이 되는 과자’라는 뜻으로 중국인들에게 어필할 수 있다는 부분이 많아 제품 이름 변경 없이 그대로 ‘약과’라는 이름으로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인용 과장은 이어 “유럽 쪽에서도 약과가 식감이 부드러운 파이와 비슷하다는 반응이 있어 앞으로 수출 분야에서 약과 제품의 비중을 높이는 데 주력할 계획”이라며 “기존 제품에 현지 수요에 맞는 변화를 접목해 수출 지역을 확대해 나가는 방향을 구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양양 오색한과의 수출 동력은 전통식품을 바라보는 애정과 원칙으로부터 비롯됐다. 쌀, 찹쌀, 콩, 보리, 검정깨 등 국내산 재료를 활용해 건강하고 안전한 전통식품을 만든다는 생산 원칙과 전통식품의 우수성을 널리 알려야한다는 운영 철학이 여러 부침 속에서도 수출의 끈을 놓지 않게 하는 힘이다. 전통식품 인증은 물론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인증을 획득하는 등 품질과 위생관리에도 공을 기울이고 있다. 2000년대 초반 수출을 시작한 오색한과는 미국과 캐나다, 호주 등을 중심으로 매년 10만달러 정도의 수출 실적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이인용 과장은 “수출 제품은 한국에서 만든 제품이 아니라 ‘한국’ 식품이기 때문에 품질과 안전 측면을 소홀히 할 수가 없는 부분이다. 국내 우수한 농산물을 활용해 만든 전통식품은 수출 부문에서 충분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며 “최근에는 국내 쌀 소비가 크게 줄었는데, 수출을 통해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과장은 또 “전통식품 역시 현지의 식품 수요에 맞게 변화를 꾀해 수출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하지만 전통식품업체의 경우 전통적인 측면을 유지하면서 현지 수요에 맞춰 맛, 포장, 규격 등을 감안하는 것이 영세 규모라는 여건상 애로사항이 적지 않다. 현지 시장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기 위한 업체들의 노력과 더불어 이런 역량을 늘릴 수 있도록 정부도 현실적인 지원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고성진 기자 kosj@agrinet.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